2% 부족한 iPhone6 plus “Bending” 특징과 특허 이야기



최근 세간에 Apple이 최근 출시한 iPhone6 plus가 휘는 특징(bending feature)이 있다는 기사나 리뷰가 나오고 있다. 이런 저런 기사 제목만 보고 있으면 Apple이 이번에 획기적인 Flexible device를 출시한 것이 아닌가라는 관심이 생긴다.

그러나 인터넷에 올려진 여러 기사와 Bending test 동영상을 보고 나면 iPhone6 plus가 휘는 특징(bending feature)이란 것이 예상치 못한 제품의 결함이거나 그냥 흥미유발, 마케팅 기법에 이용된 것이었구나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게 된다. 심지어 iPhone 구매자 들 사이에서는 주머니에 넣어둔 iPhone에 휘어져버린 것에 대해 불만을 제기하기까지 한다고 한다. (PC Megazine “Unintentional iPhone 6 PlusFeature: Bending“ 기사글 참조)



사실 디스플레이 시장에서 정전하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용할 때부터 Flexible Display Device을 고려하였다고 볼 수 있다. 초창기 터치스크린은 대부분 압력식이었던 것을 기억할 것이다. 초창기 터치스크린이 구현된 디바이스를 보면 볼펜으로 눌러도 인식된다. 반면 요즘 터치스크린은 볼펜으로 불러서는 인식되지 않는다. 정전하방식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단순히 Display Device가 휘기만 한다고 하면, 이는 예상치 못한 제품 결함이거나 의도된 특징이었다면 정전하방식의 터치스크린을 채택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 외 얇은 몸체를 알루미늄합금으로 구성하여 두드러지지는 않지만 흥미로울 수준으로 Display Device가 휠 수 있다는 것은 기술적으로는 의미있는 것이 아니라고도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알루미늄합금 몸체의 적용만으로는 의도하는 대로 Display Device를 구부리거나 접을 수 없기 때문이다. Apple iPhone6에서 보이는 휘는 특징은 정전하방식의 터치스크린과 알루미늄 합금 몸체 그리고 초박형 구조설계를 적용하여 나타나는 부수적인 또는 부정적인 효과라고 보는 것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그보다는 그러한 휘는 특징과 관련하여 무언가 다른 특징이 포함되어 있어야 기술적으로나 특허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이며 시장의 반응 역시 지금과는 확연히 다를 것이다. iPhone6의 지금 Bending feature 2% 부족한 것이다. 2%는 큰 의미를 가져온다.

물론 초박형구조 설계가 그리 만만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이러한 설계는 대부분 휴대폰 부품의 사양을 초박형에 맞게 구성하고 부품공급업자가 그 요구사양을 따라올 수 있으면 가능한 것이다.  Apple 고유의 아이디어만으로 달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Flexible Display Device와 관련하여 특허적으로 살펴보면,

앞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정전하방식의 터치스크린에 관한 특허를 빼놓을 수는 없다.

Synaptics사가 1999 10 8일 출원하여 2006 4월에 등록받은 “Flexible transparent touch sens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란 제목의 특허(US7030860)를 보면 청구항 4에서 Flexible substrate를 사용하는 것을 권리로 하고 있다. 1999년에 이미 Flexible Display Device를 고려한 것이다.

1. A transparent capacitive touch sensing system comprising:
a substrate;
a sensory array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comprising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transparent conductive traces disposed along a first axis, the sensory array covering a portion of the substrate, wherein the sensory array is configured to sense capacitively the input object along a second axis;
a substantially transparent and electrically conductive ground plane configured to shield electrically a bottom of said sensory array opposite the input object; and
a sensing device for detecting capacitance changes on said sensory array.

4. The system of claim 1, wherein said substrate is a flexible, transparent substrate.


만일 이번 iPhone6의 개발과정에서 휘는 특징을 의도하였다면 힘을 가해 약간 휘게 되는 현상 이외에 휘는 것과 관련된 어떤 기술적 특징들을 고려할 수 있었을까?

특허정보를 검색하다 보면 이와 관련된 여러 특징들을 찾을 수 있다. 그 중 눈에 띄는 것은 휴대폰의 몸체를 구부리는 것이 또 하나의 명령 input이 되어 그러한 구부림에 따라 휴대폰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는 특징이었다. 휴대폰을 터치하는 것 이외에 휴대폰에 힘을 가하여 페이지를 넘긴다는 가 등의 명령을 할 수 있다면 흥미로운 것이 될 것이다.

도시바2003 3 31 (우선일 2002 3 29)에 출원하여 2006년경에 등록 받은 “Display input device and display input system”란 제목의 특허(US7109967)를 보면, 휘거나 구부리거나 하는 동작에 따라 그 전기적 성질의 변화를 감지하는 구성이 잘 개시되어 있다.

1. A display input device comprising:
a display unit having a flexibility; and
a first form change detection unit having a flexibility, at least a part of the display unit being laminated with the first form change detection unit, the first form change detection unit being configured to detect a type of deformation of the laminated part including bending, rounding, turning over and torsion as a change in an electrical property, wherein the change in the electrical property depends on an amount and type of deformation.

그 이후 히타치사 2009 2 (우선일 2008 2)에 출원한 공개특허(US20090219247)를 보면 Display device를 구부려서 페이지를 넘기는 기능을 권리로 잡으려고 시도한 적이다. 그러나 이 특허는 앞에서 개시한 도시바 특허(US7109967)의 존재로 결국 등록받지 못하고 포기되었다.

1. An information display terminal, comprising:
a flexible display unit that displays information and is configured to be flexible;
bend sensors that is incorporated in the display unit and detect a bending degree by bending the display unit; and
an image display control unit that controls a scrolling speed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output of the bend sensor,
wherein a page turn-over display of the information is performed at the scrolling speed in accordance with the bending degree of the display unit.

그 외 이와 비슷한 시도들이 있었는데, 최근 2014 8 LG전자가 미국특허청으로부터 등록 허여 결정을 받은 미국공개특허번호 2011-0095975를 여러 예중 하나로 들 수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이 특허의 한국 청구항은 매우 넓게 작성된 채로 등록되었으나, 미국에서는 위 히타치 공개특허의 존재로 최종 거절되었고 청구항을 수차례 보정하여 몸체의 일부분이 휠 때 어떻게 벤딩이 감지되는지와 그 감지센서등을 부가 한정하고 권리범위를 좁혀RCE를 통해 등록이 허여되었다. 특허료만 납부하면 등록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고민 중일 것으로 보인다.

1)    한국등록 청구항 제1

적어도 일부가 탄성변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몸체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몸체에 구비되어 상기 몸체의 구부러짐의 정도에 따라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지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휴대용 단말기

2)     미국 최종 등록 허여 청구항




그러나 Apple의 iPhone6에는 단순히 휘는 특징을 넘어선 무언가 다른 것, 그 휘는 특징을 이용한 다른 기능이나 특징이 보이지 않는다. 무언가 2% 부족한 느낌을 떨쳐버릴 수 없다. 기대가 너무 컸던 것일까?

Comments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DeepSeek model V3와 R1의 모든 것

법률문서 A and/or B

[라이선스계약실무] ‘제조’(make)에 대한 라이선스에 위탁제작(Have-made)하게 할 권리가 포함되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