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Background)
최근 DeepSeek(딥시크) 관련 뉴스를 보면, 혁신 기술에 대한 논의가 정치적 문제로 비화하거나 기존 시장 경쟁이 무너질 것처럼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구심이 든다. 몇몇 보도가 시장과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부추겨, 실제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듯한 인상도 준다.
Recent news coverage about DeepSeek seems to excessively politicize discussions on innovative technology or frame it as a threat to existing market competition. This raises concerns that some reports may be amplifying market and consumer anxiety, potentially worsening the actual situation.
여러 기사에서는 엔비디아 주가 급락의 원인을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로 단정 짓고, 심지어 딥시크가 키보드 입력 패턴을 수집해 중국으로 대규모 정보를 유출한다고까지 우려를 표한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이 객관적 증거에 기반한 것인지, 아니면 시장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심어주는 보도인지는 냉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Several articles have attributed the recent drop in NVIDIA’s stock price entirely to the Chinese startup DeepSeek. Some even allege that DeepSeek collects keyboard input patterns and transmits vast amounts of data to China. However, we must question whether these claims are backed by solid evidence or merely fuel fears among the market and policymakers improperly.
특히 딥시크 R1 모델 등장 후 “엔비디아 GPU가 필요 없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는데, 이는 “딥시크 R1이 GPU 없이도 고성능을 낼 수 있으니, 앞으로 AI 연구에서 GPU가 불필요해진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성능 하드웨어가 있을수록 더 큰 모델도 더 빠르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의 AI 모델이 제한된 GPU 자원으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면, 더 강력한 GPU를 활용하면 훨씬 뛰어난 결과를 낼 수 있다. 즉 AI 기술이 진화할수록 고성능 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After the debut of the DeepSeek R1 model, some have claimed that "NVIDIA GPUs will no longer be needed." This argumen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since DeepSeek R1 can deliver high performance without GPUs, AI research will eventually no longer require them. However, in reality, the more powerful the hardware, the faster and more efficiently larger models can be trained. If a Chinese AI model has achieved notable results despite limited GPU resources, then utilizing more powerful GPUs could yield even greater outcomes. In other words, as AI technology advances,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chips is more likely to increase.
또한 OpenAI 같은 미국 기업들은 내부 구조나 모델 파라미터를 공개하지 않지만, 딥시크는 오픈 소스 형태로 공개해 많은 개발자·스타트업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딥시크가 활용한 비지도 학습의 강화 학습 기법은 대규모의 학습데이터가 필요없는 모델로 다른 기업도 사실상 그대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제는 다른 AI 모델들이 딥시크 방식을 이어받아 학습 효율을 높이기가 쉬워진다. 같은 방식이라면 더 많은 고성능 하드웨어를 투입할수록 더 빠르고 정확한 학습과 추론이 가능해져, 고성능 칩을 동원한 AI들이 딥시크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낼 잠재력이 크다. 이로 인해 고성능 반도체 수요 역시 상당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Moreover, while U.S. companies like OpenAI do not disclose their internal structures or model parameters, DeepSeek has made its technology open-source, allowing easy access for many developers and startups. The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s used in DeepSeek's unsupervised learning are models that do not require massive datasets and can be practically adopted by other companies. Therefore, it is now easier for other AI models to adopt DeepSeek’s methods and enhance their learning efficiency. With the same approach, the more high-performance hardware is employed, the faster and more accurate the inference becomes, which means AI models using powerful chips have the potential to surpass DeepSeek in performance. Consequently, this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semiconductors.
한편, 딥시크 사례는 기존 미국 대형 기업들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개발한 모델에 비해 훨씬 적은 투자로도 유의미한 AI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누구나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셈이다. 이는 특히 AI 산업에서 뒤처져 있던 한국 같은 IT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동안은 막대한 투자비에 가로막혀 AI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웠지만, 딥시크가 촉발한 저비용 구조의 AI 모델이 확산된다면, 새롭게 AI 생태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Also noteworthy is the fact that DeepSeek demonstrates how one can achieve a meaningful AI system on a far more modest budget than what major American firms have historically poured into proprietary models. This effectively underscores the message that “anyone can do it.” For nations like South Korea, where the AI industry has lagged behind that of the United States or China, the historically steep AI development costs could now become less of a barrier. If DeepSeek’s low-cost model spawns broader adoption, these emerging markets might find themselves in a more dynamic AI ecosystem.
다만, 딥시크 측이 학습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고 모델과 가중치(Weights)만 공개하고 있기에,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 정의상의 ‘완전한 오픈 소스’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보통 이 같은 유형을 ‘오픈 웨이트 모델(Open Weight Model)’이라 부르지만, 모델 구조와 가중치·파라미터만으로도 재현이 가능한 만큼, ‘오픈 소스 모델’이라 부르는 데도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However, DeepSeek only released the model code and weights, not the actual training data. So, strictly speaking, it doesn’t meet the Open Source Initiative (OSI) definition of open source. Typically, such releases are referred to as “Open Weight Models,” but since sharing the model structure and parameters is enough for replication, it’s arguably reasonable to label DeepSeek as an “open source model.”
흥미로운 점은 딥시크가 정부나 관 주도가 아닌 항저우 소재의 민간 스타트업이라는 것이다. 중국 총리가 뒤늦게 이를 알고 항저우로 직접 날아가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확인했다는 이야기는, 정부가 미리 이 성과를 예측하지 못했음을 방증한다. 중국 스타트업이 만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정부 후원 프로젝트라고 볼 수는 없으며, 오히려 정부가 나중에야 성공 소식을 접했다는 일화가 이를 뒷받침한다.
An interesting aspect of DeepSeek is that it is a private startup based in Hangzhou, rather than a government-led initiative. Reports suggest that the Chinese Premier was unaware of its achievements until later and rushed to Hangzhou to personally assess “what was happening,” indicating that the government had not foreseen this breakthrough.
The fact that DeepSeek was developed by a Chinese startup does not automatically imply state sponsorship; on the contrary, the government’s delayed recognition of its success reinforces the notion that it was not a premeditated state-backed project.
한편, 미국의 일부 대형 벤처캐피털(VC)들이 막대한 LP(출자자) 자금을 독점적(proprietary) AI 모델에 투자해왔고, 미국 정부가 중국 등 경쟁 시장을 배제하도록 로비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트럼프 등 여러 인사를 상대로 제재를 요구하는 것만으로 세계적 혁신 흐름을 막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이미 AI가 더 이상 미국 대형 업체의 전유물이 아닐 수 있음을 중국 등 다양한 국가들이 보여주고 있으며, 그들은 오픈 소스와 저비용 전략을 통해 빠르게 추격 중이다.
Meanwhile, some argue that a handful of major U.S. venture capital firms, which have funneled substantial LP (limited partner) funds into expensive proprietary AI models, are lobbying the U.S. government to exclude China and other competing markets. However, many believe that simply pressuring Trump for sanctions is unlikely to halt the global tide of innovation. Countries like China have already demonstrated that AI is no longer the exclusive domain of large American corporations, and they are rapidly closing the gap by leveraging open-source models and cost-effective strategies.
또한 ‘중국산이라 믿을 수 없다’는 서구권 태도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막연한 반중 정서를 부추기는 식의 접근은 시장과 혁신 전반에 해를 끼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Likewise, the effectiveness of the Western stance dismissing technology solely because it originates from China remains uncertain. Some concerns that foster vague anti-China sentiment could harm the market and hinder overall innovation.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유출 우려와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한 뒤 ‘전송’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는 서버에 전송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등의 스크립트로, 실시간 키 입력(간격·순서)을 추적해 ‘키보드 입력 패턴’을 수집할 기술적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딥시크 AI가 실제로 그런 입력 패턴을 몰래 수집하고 있다는 구체적 보고나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중국 안보 리스크를 과장해 막연히 불안감을 조성하는 프레임일 가능성이 높고, 충분한 객관적 근거 없이 성급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Finally, regarding data privacy concerns—ordinarily, text typed into a prompt doesn’t get uploaded to a server until the user actually hits “Send.” In other words, under typical conditions, keystroke patterns aren’t transmitted before submission.
It’s technically possible, however, to use JavaScript or similar scripts to capture input in real-time (including timing intervals and key order) even before the “Send” button is pressed. So far, though, there’s no solid evidence or reports that DeepSeek AI actually collects such data.
Such speculation may reflect a frame intended to magnify security risks tied to China, thereby sparking vague fears without concrete proof.
This is likely a framing tactic that exaggerates China’s security risks to fuel unfounded fears. It is crucial to avoid hasty conclusions without sufficient objective evidence.
논문에서 밝힌 DeepSeek-R1의 특징
Key Features of DeepSeek-R1 Highlighted in the Paper
2025년 1월 20일에 발표된 DeepSeek-R1 관련 논문을 보면, DeepSeek-R1이 다단계 강화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aper published on January 20, 2025, about DeepSeek-R1, one can see that DeepSeek-R1 is a hybrid model grounded in multi-stage reinforcement learning.
Reference: Guo, D., et al. (2025). DeepSeek-R1: Incentivizing Reasoning Capability in LLMs via Reinforcement Learning. arXiv preprint arXiv:2501.12948.
논문에 따르면, DeepSeek R1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aper, DeepSeek R1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key features:
1. DeepSeek-R1-Zero:
2. DeepSeek-R1:
3. 공개와 모델 확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