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MS.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MS. Show all posts

Monday, October 20, 2014

최근 MS사와 삼성간 공방에 대한 걱정스런 눈길

지드넷에 <삼성, “MS에 로열티 거부“ 이유 있었다> 란 제목으로 최근 MS사와 삼성간 소송진행상황(중재신청과 소송연기신청 등)과 이슈가 소개되었다. 

특허 라이선스 계약과 비지니스 협력계약이 함께 체결되었고 두 계약이 서로 대가관계에서 연결되었다는 것인데, MS사와 삼성간의 공방이 중국은 물론 미국, 유럽 및 한국 공정거래위원회가 좋아할 만한 먹이감을 던져준 것 같아 걱정스런 눈길을 접을 수 없다. MS의 불공정행위를 부각시키는 효과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공방은 세심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으면 독과(poisonous fruit)이 되어 누가 그 독을 마시게 될지 모르는 리스크가 있다. 최고의 전문가들이 고민한 공방일것이다. 중재로 넘어가게 되면 비밀심리되므로 많은 내용이 공개되지 않겠지만 앞으로 어떤 이슈로 논쟁이 흘러갈지 궁금해진다.

《그 동안 MS 쪽의 주장만 나올 땐 삼성이 로열티 지급을 거부한 명분이 다소 모호했다. 하지만 이번에 삼성이 법원에 제출한 문건을 통해 이 부분에 대한 근거가 분명하게 드러났다. 두 회사가 체결한 로열티 계약과 비즈니스 협력 계약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 협력 계약에 따라 "노키아가 비즈니스 협력 계약 9조7항을 위반할 경우에는 특허 라이선스 계약을 종료할 수 있다"는 것이 삼성 측 주장이다. 9조7항은 계약 당사자 간에 체결한 권리를 제3자에게 양도하는 부분과 관련된 내용을 담고 있다. 두 회사간 공방의 핵심은 MS의 노키아 휴대폰 사업 부문 인수가 9조7항 위반에 해당되느냐는 부분이 쟁점이다. 삼성은 노키아 휴대폰 사업 부문이 자신들의 경쟁자이기 때문에 MS가 비즈니스 협력 계약을 위반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양사 합의에 따라 라이선스 계약도 원천 무효라는 게 삼성 측 주장이다.... 하지만 이번에 삼성이 법원에 제출한 문건을 통해 두 회사는 라이선스 계약 뿐 아니라 비즈니스 협력 계약도 함께 체결한 사실이 공개됐다. 그 내용만 보면 삼성이 단순히 MS의 노키아 인수를 빌미로 생떼를 쓰고 있는 것만은 아니란 점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 포스페이턴츠는 "특허 라이선스 계약 자체만 놓고 보면 MS의 주장에 좀 더 힘이 실리는 반면 비즈니스 협력 계약에선 삼성이 좀 더 강점을 갖고 있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포스페이턴츠는 또 “두 회사 간 관계에선 비즈니스 협력 계약이 좀 더 무게를 갖는 것처럼 보인다”고 분석했다.》- ZDNET 삼성, “MS에 로열티 거부“ 이유 있었다에서 발췌



"....There are two contracts (which was known before, but in less detail): a patent licensing agreement and a business collaboration agreement. The latter related to Samsung's role as a Windows device maker. The patent license agreement requires disputes to be resolved in the Southern District of New York, where Microsoft brought its suit. The business collaboration agreement, however, appears to be even more confidential and, according to Samsung's filing, "specified that [the parties] would arbitrate certain disputes in Japan under the Rules of Arbitration of the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ICC Rules')." Under ICC Rules, even the question of arbitrability (i.e., whether a dispute falls under an arbitration clause) must be arbitrated. Samsung's filing shows that Microsoft's objective was not merely to collect patent royalties on Android devices but also to provide an additional incentive for Samsung by promising Success Credits and Collaboration Credits in connection with Windows phones and tablets as well as Microsoft search services. At the end of the year, Samsung pays the balance between the royalties due under the patent license agreement and the credits under the business collaboration agreement. At least based on Samsung's lawyers' representation of the contractual situation, the business collaboration agreement enjoys priority over the patent license agreement with respect to royalty reports....With the greatest caution due to the fact that the agreements themselves are sealed, my impression at this stage is that Microsoft has strong arguments under the patent license agreement per se, but Samsung has a strong point under the business collaboration agreement, and it appears that the business collaboration agreement has more weight in the overall (and rather complex)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parties...."

Monday, October 6, 2014

MS와 삼성간에 체결된 라이선스 계약정보 일부가 공개되다



2014 10 4일자 IP분석전문가 FLORIAN MUELLER가 자신의 블로그 FOSS PATENTSSamsungpaid Microsoft over $1 billion in Android patent royalties in 12-month period:court filing라는 제목으로 MS10 3일자로 소장보정서를 제출하면서 밝힌 MS와 삼성간에 체결된 특허라이센스계약에 관한 몇가지 정보를 토대로 분석의견을 밝혔다.

Microsoft recalls, as no one would deny, that "[b]oth Microsoft and Samsung, which are highly sophisticated businesses, were represented by skilled counsel throughout the process of negotiating, draft, and executing the License Agreement." And these parties, according to the complaint, agreed to the following clause:
3.2 New Subsidiary License. If a Subsidiary or business unit/division is acquired by a Party after the Effective Date, the Subsidiary or business unit/division shall be deemed a Grantee under Section 3.1 and the License granted under Section 3.1 shall extend to such Subsidiary of business unit/division, but effective only as of the of the acquisition.
Microsoft concedes, however, that "[t]he License Agreement als contains an anti-assignment provision in Section 7.7 [...]," but says "the Nokia Acquisition is precisely the kind of transaction that is explicitly permitted." The dispute also appears to (at least potentially) involve a parallel Collaboration Agreement relating to Samsung's Windows-based devices.”

위에서 해당 블로그를 링크하였으니 꼭 읽어보시기 바란다. 이해관계자인 구글, MS, 애플, 삼성들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MS사의 고도의 소송전략도 엿볼 수 있습니다.

Saturday, September 13, 2014

Apple lawyers to defend Samsung in Microsoft licensing dispute

삼성과 MS사 간의 특허로열티 미지불 사건에 대한 삼성 소송대리인으로 O'Melveny 로펌 소속 변호사가 선임될 것이라고 하네요. 로펌 O'Melveny 은 2008년 애플과 삼성의 공동피고대리인으로 인연을 맺기 시작하여 애플과 삼성이 특허소송 중이었을 때도 삼성의 사건을 맡았던 것으로 알려져 있죠. 그런데도 O'Melveny 샌프란시스코 사무실의 George Riley가 애플의 스티브 잡스와 긴밀한 친구이었던 것 때문에 업계에 관심거리가 되는 것 같습니다. close friend라고 할 정도이니...


소송 승패의 70~80%는 소송대리인을 선임하는 데에서 결정된다고 하죠. 전투의 승패가 전쟁의 승패로 바로 이어진다는 공식은 성립하지 않지만 전투에서 장수를 누구로 정하느냐가 그 전투의 승패를 좌우하는 것은 사실입니다. 전투의 장수를 선임하는 것은 매우 고통스러운 작업입니다. 저도 장수를 선임하는 것이 어렵지만 너무 중요하기에 여러 루트를 통해 레퍼런스를 받고 또 직접 리서치하는 것도 모잘라 확신이 들때까지 미국으로 날라가 리더와 그 팀맴버를 반복하여 인터뷰한 적이 있습니다. 그 선임의 결과는 결국 당사자의 책임으로 돌아갈 것이고 그래서 너무 중요한 결정사항이기에 그래야 했습니다.
소송대리인 입장에서도 고객이 자신을 One of them으로 보느냐 아니면 Have to be him로 보느냐에 따라 그 앞길이 달라집니다. 고객이 자신을 Have to be you로 지명한다는 건 영광이겠죠.

Alison FrankelReuters BlogApple lawyers to defend Samsung in Microsoft licensingdispute으로 올린 Article을 읽어보세요.

"When my whip-smart Reuters colleague Dan Levine noticed Tuesday that George Riley and several other lawyers from O’Melveny & Myers had entered appearances as defense counsel for Samsung in its month-old dispute with Microsoft over allegedly unpaid patent royalties, my immediate thought was that O’Melveny’s new assignment was another sign of the waning tensions between Apple and the South Korean electronics company....."


<참고>
O’Melveny & Myers LLP is an international law firm founded in Los Angeles, California. The firm is 29th largest law firm in the world and has been said by Vault to be one of America's top 25 most prestigious law firms and best firms to work for. It employs around 800 lawyers in 16 offices worldwide. The firm has represented clients, such as Bank of America, Exxon Mobil, Fannie Mae, Goldman Sachs, the District of Columbia, New Line Cinema, Metro-Goldwyn-Mayer Studios, and other law firms. They represented former Enron Corporation chief executive Jeffrey K. Skilling during his four-month fraud and conspiracy trial.


George Riley is a partner in O'Melveny's San Francisco office and one of the Firm's most experienced trial lawyers.  George was named by the San Francisco Chronicle Magazine as one of the top 15 lawyers in Northern California.  He was also recognized by the San Francisco and Los Angeles Daily Journal as among the top intellectual property lawyers in California (2008-11). The Legal 500 has repeatedly recognized George as a leading lawyer in the field of trade secrets litigation, calling him a "[c]lient favorite" who provides "advice that is always right on the button."  George has also been nationally recognized for his work in commercial litigation and broad intellectual property experience by the Practical Law Company in its "PLC Which Lawyer?" Yearbook, and has been repeatedly included in The Best Lawyers in America publication.

Does AI determine the outcome of patent lawsuits? Visualization strategies for patent attorneys (AI가 특허 소송의 승패를 가른다? 변리사를 위한 시각화 전략)

  변리사님, 아직도 특허 도면 수정 때문에 밤새시나요? Patent Attorneys, still pulling all-nighters over drawing modifications? 특허 문서만으로 복잡한 기술을 설명하는 데 한계를 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