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iday, January 31, 2025

Patents and National Power

"특허는 역사적으로 국가 권력 구축에 어떤 역할을 해왔으며, 21세기 들어 미국, 중국, EU는 지식재산(IP)과 관련하여 각각 어떻게 다른 전략을 펼쳐왔는가?"

"How have patents historically contributed to building national power, and how have the U.S., China, and the EU taken different approaches to intellectual property (IP) in the 21st century?"

이 주제로 ChinaTalk (Jordan Schneider)가 조지메이슨대학교 안토닌 스칼리아 법대의 애덤 모소프(Adam Mossoff) 교수와 진행한 인터뷰가 공개되었습니다.

This is the topic of a recent ChinaTalk (Jordan Schneider) interview with Adam Mossoff, professor at George Mason University’s Antonin Scalia Law School.

이 인터뷰에는 특허 제도와 관련된 주옥같은 통찰이 가득합니다. 특허 제도에 관심 있는 분이라면 꼭 시간을 내어 읽어보시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This conversation is packed with insightful discussions on the patent system, making it a must-read for anyone interested in intellectual property. I strongly encourage you to take the time to go through it.

주요 내용 Key Takeaways:

- 미국 특허제도의 역사와 특허권의 자연권적 성격

  The history of the U.S. patent system and its natural rights foundation

- 발명을 실시하지 않는 발명가(NPE)의 라이선스 수익화가 특허 제도의 본질적 기능인 이유

  Why the monetization of patents by an inventor (NPEs) is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patent system

- 발명(lab or garage invention)혁신(market innovation)의 차이

  The distinction between invention (lab or garage invention) and innovation (market innovation)

- 미국과 영국의 차이: 발명을 혁신(innovation)으로 전환하는 과정

  How the U.S. and the U.K. differ in turning inventions into real-world innovations

- 야셍 황(Yasheng Huang) 교수의 분석: 중국 문명이 특허제도와 비교할 때 과거제(科擧制度)를 선택한 것이 결정적 실수였던 이유

  Yasheng Huang’s analysis: Why China’s reliance on the imperial exam system (Keju) instead of a patent-based system was a historical misstep

- 미국 특허 시스템과 문화적 요인이 어떻게 혁신을 가능하게 했는가

  How the U.S. patent system and cultural factors enabled innovation

- 미국 실용주의와 발명의 민주화(Democratization of Invention)

  The role of American pragmatism and the democratization of invention

-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의 중심이 영국에서 미국으로 이동한 이유

  How the center of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shifted from the U.K. to the U.S.

- 현대 특허 시스템의 문제점과 도전 과제

  Modern challenges facing the patent system

- 일론 머스크(Elon Musk)의 특허제도에 대한 인식 변화와 특허의 진정한 역할

  Elon Musk’s evolving stance on patents and the true role of patents in innovation

- 트럼프 행정부의 특허 정책과 향후 전망

  Patent policy under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potential future shifts

- 중국의 지식재산권 정책의 양면성

  China’s two-faced approach to intellectual property—both strengthening its own system and engaging in IP theft

- 표준필수특허(SEP) 전쟁에 중국과 EU의 개입

  The ongoing Standard Essential Patent (SEP) battles involving China and the EU

- 화웨이의 역할 변화

  Huawei’s shifting role in global tech standards

- 중국 법원이 특허 시스템을 정치적으로 활용하는 방식

  How China’s court system is being weaponized to suppress foreign patent holders

- 법치주의(rule of law)특허 시스템의 성패

  Why the rule of law matters for the success of a patent system

- 중국 IP정책에 대한 미국 정부의 대응 전략

  U.S. strategies for countering China’s IP policies

- 미국 특허 시스템의 도덕적·법적·경제적 리더십 회복 필요성

  The urgent need to restore the moral, legal, and economic leadership of the U.S. patent system


📌 혁신과 특허 정책에 대한 깊이 있는 논의를 담고 있는 만큼, 꼭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

📌 If you're interested in innovation, intellectual property, and global technology policy, this interview is a must-read! 🚀

A summary of the background technologies applied in DeepSeek-R1

Detailed Explanation of the Foundational Research Behind DeepSeek-R1

The success of DeepSeek-R1 lies in its ability to harness multiple foundational breakthroughs in AI research and strategically merge them to produce a high-performance, cost-efficient system. Below is a closer look at the key research areas and innovations that serve as its backbone:

DeepSeek-R1에 적용된 선행 연구들의 상세한 설명

DeepSeek-R1의 성공은 여러 핵심 AI 연구의 혁신을 전략적으로 결합하여 높은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달성한 데에 있다. 여기에서는 DeepSeek-R1의 근간이 된 주요 연구와 혁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Reinforcement Learning (RL) and Policy Optimization

Core Idea: Reinforcement Learning teaches AI through trial and error by assigning rewards to desired outcomes. The Group Relative Policy Optimization (GRPO) used in DeepSeek-R1 builds upon previous research in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PPO), introduced by OpenAI.

  • Foundational Work:

    • Schulman et al.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PPO is a method for optimizing policies in reinforcement learning by balancing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hile maintaining stability in updates. GRPO extends this by considering group-level optimization rather than individual sample-based feedback, allowing scalable and global policy adjustments.
    • Schulman, J., Wolski, F., Dhariwal, P., Radford, A., & Klimov, O.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arXiv preprint arXiv:1707.06347.
  • Impact on DeepSeek:
    GRPO enables DeepSeek to efficiently handle diverse inputs and dynamically optimize its policy across various scenarios. This approach ensures that the AI can generalize and improve decision-making without requiring excessive computation.

1. 강화학습(RL)과 정책 최적화

핵심 아이디어: 강화학습은 시행착오를 통해 원하는 결과에 보상을 부여함으로써 AI를 학습시키는 방식이다. DeepSeek-R1는 OpenAI에서 도입한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PPO)의 개념을 확장한 Group Relative Policy Optimization (GRPO)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기초 연구:

    • Schulman et al.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PPO는 탐색과 착취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책 업데이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화 방법이다. GRPO는 이를 그룹 수준의 최적화로 확장하여, 개별 샘플이 아닌 글로벌 피드백을 기반으로 정책을 최적화한다.
    • Schulman, J., Wolski, F., Dhariwal, P., Radford, A., & Klimov, O.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arXiv preprint arXiv:1707.06347.
  • DeepSeek에 미친 영향:
    GRPO는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정책을 지엽적인 아닌 전 글로벌하게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AI의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2. Reward Modeling and Rejection Sampling

DeepSeek-R1 incorporates rejection sampling, a technique that ensures only high-quality responses are used for further training through Supervised Fine-Tuning (SFT). This concept is derived from Paul F. Christiano et al.’s RLHF framework.

  • Foundational Work:

    • Christiano et al.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This paper introduced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RLHF), a method where humans provide feedback on AI-generated responses, and the AI is fine-tuned based on this feedback. 
    • Christiano, P. F., Leike, J., Brown, T., Martic, M., Legg, S., & Amodei, D.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30.
    • Further developments: Rejection sampling extends this by adding a filtering step where suboptimal responses are rejected before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upervised learning dataset.
  • Impact on DeepSeek:
    DeepSeek-R1 adapts this process to include rule-based feedback (AI-based feedback from RLAIF) in addition to human oversight, allowing for faster feedback loops while avoiding reward hacking and resource-intensive retraining.

2. 보상 모델링과 거부 샘플링

DeepSeek-R1는 거부 샘플링(rejection sampling)을 활용하여 고품질 응답만 학습에 사용되도록 한다. 이는 OpenAI의 RLHF(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프레임워크에서 발전한 개념이다.

  • 기초 연구:

    • Christiano et al.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이 논문은 AI가 생성한 응답에 대해 사람이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AI를 미세 조정하는 RLHF 방법론을 소개했다.
    • Christiano, P. F., Leike, J., Brown, T., Martic, M., Legg, S., & Amodei, D.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30.
    • 거부 샘플링의 확장: 거부 샘플링은 이 과정에 필터링 단계를 추가하여, 질 낮은 응답을 걸러내고 고품질 응답만 학습에 반영한다.
  • DeepSeek에 미친 영향:
    DeepSeek-R1는 인간 피드백 대신 AI 피드백을 포함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피드백 루프를 제공하며, 보상 해킹과 자원 소모를 줄인다. 대형 언어 모델(LLM)이 생성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보상 모델(RM)을 훈련시키는 AI 피드백에서의 강화 학습(RLAIF)은 Bai 등(2022b)에서 소개되어 있다. 
  • Bai, Y., Kadavath, S., Kundu, S., Askell, A., Kernion, J., Jones, A., ... & Kaplan, J. (2022). Constitutional ai: Harmlessness from ai feedback. arXiv preprint arXiv:2212.08073.

Thursday, January 30, 2025

Long-Arm Jurisdiction under the UPC: Extraterritorial Reach over Non-UPC States?

The Unified Patent Court’s (UPC) Long-Arm Jurisdiction: Expanding Extraterritorial Authority over Non-UPC (including non-EU) Countries?

(source: UPC webpages)

유럽통합특허법원(UPC)의 롱암(Long-Arm) 관할권: 비-UPC 국가(비-EU 국가 포함)에 대한 역외적 관할 확대?


2025년 1월 28일, 유럽통합특허법원(UPC) 뒤셀도르프 지방법원(Local Division, 이하 뒤셀도르프 LD) 1심 재판부(Court of First Instance, CFI)는 UPC_CFI_355/2023 사건에 대한 판결을 선고했다. 이 판결은 특히 비-UPC 국가나 비-EU 국가(예: 영국)가 포함된 사건에서 UPC가 침해와 무효를 어떻게 초국경적으로(cross-border) 처리할 수 있는지를 보다 구체화한 점에서 의미가 크다.

재판부는 동일한 유럽특허를 둘러싸고 영국에서 행해지는 병행적 침해행위도 UPC가 관할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그 근거로, 피고가 UPC 회원국(독일)에 거주(domiciled)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 특허의 영국 영역(UK part)에서 일어난 침해 역시 UPC의 심리 대상이 된다고 보았다. 이는 피고가 독일 부분에 관해서만 무효 반소(counterclaim for revocation)를 제기했어도 달라지지 않는다는 결론이다.

이처럼 뒤셀도르프 LD(UPC_CFI_355/2023) 판결은, UPC가 비(非)EU 국가나 UPC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국가에서의 특허 침해행위까지 관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중요한 전기를 마련했다. 최근에는 영국처럼 EU와 UPC 협정 모두에서 이탈(또는 처음부터 가입하지 않은)한 국가의 침해행위까지도 한 번의 소송으로 다룰 수 있을지, 일명 ‘롱암(long-arm) 관할’ 문제가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고 있다.

아래에서는 이 롱암 관할이 어떻게 제기되고 어떤 법적 근거와 논리를 통해 인정되는지, 그리고 앞으로 어떤 쟁점들이 발생할 수 있는지를 살펴본다.


On January 28, 2025, the Local Division (LD) of the Unified Patent Court (UPC) in Düsseldorf, serving as a Court of First Instance (CFI), issued its decision in Case No. UPC_CFI_355/2023. This ruling is particularly noteworthy because it clarifies how the UPC can handle cross-border infringement and revocation actions in cases involving non-UPC or non-EU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Kingdom).

In this decision, the court held that it also had jurisdiction over a parallel infringement action pending in the UK concerning the same European patent. The reasoning was that since the defendant is domiciled in a UPC contracting state (Germany), the alleged infringement in the UK part of the same patent also falls under the UPC’s purview. The court reached this conclusion even though the defendant only filed a revocation counterclaim for the German portion of the patent.

As a result, the Düsseldorf LD’s decision in UPC_CFI_355/2023 has become a focal point for discussions about the UPC’s potential jurisdiction over patent infringements that occur in non-EU countries or in states that have not joined the UPC Agreement. Recently, the core debate has revolved around so-called “long-arm” jurisdiction, which refers to the possibility of consolidating infringement claims that arise outside the UPC’s traditional membership, as exemplified by cases involving the UK—an entity that has withdrawn from both the EU and the UPC.

Below is an overview of how this debate arose, the legal arguments that support it, and the issues likely to emerge going forward.


1. 관할권 인정의 배경

(1) 유럽특허(European Patent)의 다국적 성격

  • 유럽특허청(EPO)이 부여하는 유럽특허는 여러 국가(가입국) 각각에서 독립적으로 효력을 지닌다.
  • 영국처럼 이미 EU에서 탈퇴했거나(또는 최초부터 비회원) UPC 협약에 참여하지 않은 국가에서도 유럽특허가 유효할 수 있지만, 기존에는 이들 국가에서 발생하는 침해행위가 UPC 관할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인식이 강했다.

(2) 뒤셀도르프 LD의 판결

  • 뒤셀도르프 법원은 피고가 UPC 협약국(예: 독일)에 거주한다면, 영국처럼 비가입국에서 발생한 침해행위도 UPC가 관할할 수 있다고 봤다.
  • 이는 만하임 LD가 BSH Hausgeraete v. Electrolux 사건에서의 유럽사법재판소(ECJ) 판결을 기다리며 유보적 태도를 취한 것과 대조적이다.

1. Background to the Recognition of Jurisdiction

(1) The Multinational Nature of European Patents

  • European patents granted by the European Patent Office (EPO) have an independent effect in each contracting state.
  • Even countries that have exited the EU (or never joined in the first place), such as the UK, can still validate European patents. Until now, most practitioners assumed that such validations in non-UPC states fell outside the UPC’s jurisdiction.

(2) The Düsseldorf LD Decision

  • The Düsseldorf court held that if a defendant is domiciled in a UPC contracting state (e.g., Germany), the UPC can still assert jurisdiction over infringement occurring in non-contracting countries such as the UK.
  • This stance contrasts with that of the Mannheim Local Division (LD), which is waiting for the Court of Justice of the European Union (CJEU) to rule in BSH Hausgeraete v. Electrolux before making a final decision on a similar issue.

2. 법적 근거와 논리 구조

(1) Brussels Ibis 규칙(제4조, 제24조(4) 등)

  • GAT v. LUK (ECJ) 판례에 따르면, 특허의 ‘유효성’이나 ‘등록’ 분쟁은 해당 특허가 등록된 국가 법원의 전속관할에 속하지만, ‘침해’ 소송의 관할은 별개로 본다.
  • Brussels Ibis 규칙 제4조(1)에 따르면, 피고가 EU 회원국에 거주하는 경우 그 회원국 법원에서 소를 제기할 수 있다.
  • 더 나아가 ECJ Owusu 판결(2005)은 이 규칙이 비-EU 국가 간 분쟁에도 광범위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해, “제3국에서 발생한 침해라도 피고가 EU 회원국에 거주한다면 해당 회원국 법원이 관할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뒷받침한다.

(2) UPC 협약(UPCA)과 Brussels Ibis 규칙의 관계

  • UPCA 제31조는 “UPC의 국제적 관할은 Brussels Ibis 규칙에 따른다”고 명시한다.
  • Brussels Ibis 규칙 제71a~d는 UPC를 기존의 관할 규정 체계에 편입하기 위해 마련된 조항으로, 특히 제71b(1)에서는 “피고가 EU 회원국에 거주한다면, 그 회원국 법원이 갖는 관할권을 UPC가 행사할 수 있다”고 규정한다.

(3) 영국 등 비-UPC 국가에 대한 롱암 관할(Long-Arm Jurisdiction)

  • 뒤셀도르프 LD의 결론은 요약하자면 “피고가 UPC 협약국에 거주한다면, 비-UPC 국가에서 발생한 침해라도 Brussels Ibis 규칙과 ECJ 판례에 따라 하나의 재판부(UPC)에서 통합 심리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 이를 통해 영국 부분(UK part)에 대한 특허 무효를 직접 다루지 않더라도, UPC가 침해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영국에서의 효력에도 사실상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2. Legal Basis and Underlying Logic

(1)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Articles 4(1), 24(4), etc.)

  • According to GAT v. LUK (CJEU), disputes over the validity or registration of a patent fall under the exclusive jurisdiction of the country where the patent is registered. However, jurisdiction over infringement is treated separately.
  • Article 4(1) of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allows a plaintiff to bring suit in the courts of the EU Member State where the defendant is domiciled.
  • Moreover, the CJEU’s 2005 Owusu decision confirms the broad applicability of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to disputes involving non-EU countries, effectively supporting the notion that infringement occurring in a third state can still be heard in the EU Member State where the defendant is domiciled.

(2)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PC Agreement (UPCA) and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 Article 31 of the UPCA expressly states that “the UPC’s international jurisdiction shall be determined under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 Articles 71a–d of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were introduced to integrate the UPC into the existing jurisdictional framework. In particular, Article 71b(1) specifies that if a defendant is domiciled in an EU Member State, the UPC may exercise the same jurisdiction as the national court in that state would.

(3) Long-arm jurisdiction over Countries Outside the UPC (e.g., the UK)

  • Ultimately, the Düsseldorf LD concluded that when a defendant is domiciled in a UPC contracting state, any alleged infringement—even in a non-UPC state—can be consolidated before the UPC under the Brussels Ibis Regulation and relevant CJEU case law.
  • Even if the UPC does not directly adjudicate the validity of the patent in the UK, its infringement finding may still affect the patent’s practical enforceability there.

3. 앞으로의 쟁점과 시사점

(1) ECJ 후속 판결에 따른 변화 가능성

  • BSH v. Electrolux 사건에 대한 ECJ 판결 결과에 따라, 뒤셀도르프 LD의 롱암 관할이 뒤집힐 수도 있다.
  • 만하임 LD는 ECJ 판결을 기다리고 있는 반면, 뒤셀도르프 LD는 선제적으로 롱암 관할을 인정했으므로, 향후 판결에 따라 판례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2) 비-UPC 국가에 대한 실무적 영향

  • 영국 외에도 스위스, 터키 등 UPC 협약에 가입하지 않은 여러 국가가 존재한다.
  • 원고(특허권자) 관점에서는 UPC 한 곳에서 다국적 침해를 일괄적으로 다룰 수 있어 소송 전략상 이점이 있다.
  • 피고(비-UPC 국가 기업) 입장에서는 자국 밖에서 예기치 못하게 소송이 진행될 수 있고, 그 결과가 자국 시장 활동에도 영향을 줄 수 있어 부담이 커진다.

(3) 국제 특허분쟁의 ‘포럼 쇼핑’ 심화

  • 뒤셀도르프 등 일부 관할법원이 롱암 관할권을 확대 해석하면, 특허권자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관할지를 선점(포럼 쇼핑)하려는 시도를 더욱 강화할 수 있다.
  • 이는 국제 특허분쟁에서 효율성을 높일 여지도 있지만, 국가 간 주권 충돌이나 판결 집행 문제 등이 새롭게 대두될 우려가 있다.

3. Future Considerations and Broader Implications

(1) Possible Changes Following Future CJEU Rulings

  • The BSH v. Electrolux case, currently pending before the CJEU, could potentially overturn or modify the scope of the Düsseldorf LD’s approach to long-arm jurisdiction.
  • While the Mannheim LD has taken a more cautious stance, the Düsseldorf LD’s decision stands as a proactive acknowledgment of broader UPC jurisdiction, which may or may not align with the CJEU’s ultimate interpretation.

(2) Practical Effects on Non-UPC Countries

  • The UK is not alone; countries such as Switzerland and Turkey have also declined to join the UPC Agreement.
  • Patent holders (plaintiffs) stand to benefit from being able to combine multi-jurisdictional infringement claims into a single proceeding before the UPC.
  • Defendants (especially those located in non-UPC states) face the added burden and risk of litigation in a foreign forum, which could have ramifications for their local commercial activities.

(3) Heightened Forum Shopping in International Patent Disputes

  • If certain UPC divisions (like Düsseldorf) are more amenable to exercising long-arm jurisdiction, patent holders may strategically file suit in these divisions to gain a procedural and substantive advantage—commonly referred to as forum shopping.
  • This might enhance efficiency in some cross-border disputes but could also prompt new questions over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enforceability of UPC judgments in non-UPC territories.

4. 결론

뒤셀도르프 LD 판결(UPC_CFI_355/2023)은 비-EU·비-UPC 국가에서 발생한 침해행위도 UPC가 관할할 수 있다는 해석을 제시해, UPC 관할 범위를 상당히 확장시키는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는 영국과 같은 국가가 UPC 관할에서 완전히 배제된다고 보던 기존 인식을 뒤흔드는 동시에, UPC 체계가 얼마나 폭넓은 효력을 갖게 될지에 대한 논의를 재점화하고 있다. 추후 ECJ 판결이나 다른 지역 법원의 유사 사건에서 어떤 결론이 내려지는지에 따라 판례가 확립·보완되거나 또 다른 해석이 제기될 가능성이 높다.

결국, 국제 특허분쟁에 관여하는 기업들은 관할권과 소송 전략을 재점검해야 하며, UPC 내에서 롱암 관할이 확대될 경우 포럼 쇼핑, 판결 충돌, 집행 문제 등이 더욱 복잡해질 전망이다. 따라서 이번 판결은 향후 UPC와 비-UPC 국가 간 특허분쟁이 어떻게 전개될지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시금석이라 할 수 있다.

4. Conclusion

The Düsseldorf LD’s ruling in UPC_CFI_355/2023 highlights the UPC’s potentially expansive reach, suggesting that it might exercise jurisdiction over infringement occurring in non-EU or non-UPC states. This move challenges the earlier assumption that countries like the UK would be wholly excluded from the UPC’s domain. As subsequent CJEU decisions and parallel litigation in other jurisdictions unfold, this area of law may either become more firmly established or face fresh waves of debate.

For businesses operating globally, this shift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reassessing litigation strategies in light of the UPC’s long-arm jurisdiction. Issues such as forum shopping, jurisdictional overlap, and judgment enforcement are poised to become more complex. Consequently, this ruling stands as a key reference point for understanding how patent disputes may play out between the UPC and non-UPC jurisdictions in the years to come.

[EoD]

DeepSeek R1의 두려움에서 벗어나라 (Break Free from the Fear of DeepSeek R1) !

서론(Background)

근 DeepSeek(딥시크) 관련 뉴스를 보면, 혁신 기술에 대한 논의가 정치적 문제로 비화하거나 기존 시장 경쟁이 무너질 것처럼 과도하게 부정적으로 다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의구심이 든다. 몇몇 보도가 시장과 소비자의 불안 심리를 부추겨, 실제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듯한 인상도 준다.

Recent news coverage about DeepSeek seems to excessively politicize discussions on innovative technology or frame it as a threat to existing market competition. This raises concerns that some reports may be amplifying market and consumer anxiety, potentially worsening the actual situation.

여러 기사에서는 엔비디아 주가 급락의 원인을 중국 스타트업 딥시크로 단정 짓고, 심지어 딥시크가 키보드 입력 패턴을 수집해 중국으로 대규모 정보를 유출한다고까지 우려를 표한다. 하지만 그러한 주장이 객관적 증거에 기반한 것인지, 아니면 시장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심어주는 보도인지는 냉정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Several articles have attributed the recent drop in NVIDIA’s stock price entirely to the Chinese startup DeepSeek. Some even allege that DeepSeek collects keyboard input patterns and transmits vast amounts of data to China. However, we must question whether these claims are backed by solid evidence or merely fuel fears among the market and policymakers improperly.

특히 딥시크 R1 모델 등장 후 “엔비디아 GPU가 필요 없어질 것”이라는 주장도 나왔는데, 이는 “딥시크 R1이 GPU 없이도 고성능을 낼 수 있으니, 앞으로 AI 연구에서 GPU가 불필요해진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고성능 하드웨어가 있을수록 더 큰 모델도 더 빠르게 학습할 수 있기 때문에 중국의 AI 모델이 제한된 GPU 자원으로도 주목할 만한 성과를 냈다면, 더 강력한 GPU를 활용하면 훨씬 뛰어난 결과를 낼 수 있다. 즉 AI 기술이 진화할수록 고성능 칩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After the debut of the DeepSeek R1 model, some have claimed that "NVIDIA GPUs will no longer be needed." This argumen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since DeepSeek R1 can deliver high performance without GPUs, AI research will eventually no longer require them. However, in reality, the more powerful the hardware, the faster and more efficiently larger models can be trained. If a Chinese AI model has achieved notable results despite limited GPU resources, then utilizing more powerful GPUs could yield even greater outcomes. In other words, as AI technology advances,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chips is more likely to increase.

또한 OpenAI 같은 미국 기업들은 내부 구조나 모델 파라미터를 공개하지 않지만, 딥시크는 오픈 소스 형태로 공개해 많은 개발자·스타트업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 딥시크가 활용한 비지도 학습의  강화 학습 기법은 대규모의 학습데이터가 필요없는 모델로 다른 기업도 사실상 그대로 적용 가능하므로, 이제는 다른 AI 모델들이 딥시크 방식을 이어받아 학습 효율을 높이기가 쉬워진다. 같은 방식이라면 더 많은 고성능 하드웨어를 투입할수록 더 빠르고 정확한 학습과 추론이 가능해져, 고성능 칩을 동원한 AI들이 딥시크보다 더 뛰어난 성능을 낼 잠재력이 크다. 이로 인해 고성능 반도체 수요 역시 상당히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

Moreover, while U.S. companies like OpenAI do not disclose their internal structures or model parameters, DeepSeek has made its technology open-source, allowing easy access for many developers and startups. The reinforcement learning techniques used in DeepSeek's unsupervised learning are models that do not require massive datasets and can be practically adopted by other companies. Therefore, it is now easier for other AI models to adopt DeepSeek’s methods and enhance their learning efficiency. With the same approach, the more high-performance hardware is employed, the faster and more accurate the inference becomes, which means AI models using powerful chips have the potential to surpass DeepSeek in performance. Consequently, this could significantly increase the demand for high-performance semiconductors.

DeepSeek GitHub page : https://github.com/deepseek-ai/DeepSeek-R1/tree/main

한편, 딥시크 사례는 기존 미국 대형 기업들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개발한 모델에 비해 훨씬 적은 투자로도 유의미한 AI를 구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누구나 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지는 셈이다. 이는 특히 AI 산업에서 뒤처져 있던 한국 같은 IT 기업들에게도 기회가 될 수 있다. 그동안은 막대한 투자비에 가로막혀 AI 시장에 진입하기 어려웠지만, 딥시크가 촉발한 저비용 구조의 AI 모델이 확산된다면, 새롭게 AI 생태계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수 있기 때문이다.

Also noteworthy is the fact that DeepSeek demonstrates how one can achieve a meaningful AI system on a far more modest budget than what major American firms have historically poured into proprietary models. This effectively underscores the message that “anyone can do it.” For nations like South Korea, where the AI industry has lagged behind that of the United States or China, the historically steep AI development costs could now become less of a barrier. If DeepSeek’s low-cost model spawns broader adoption, these emerging markets might find themselves in a more dynamic AI ecosystem.

다만, 딥시크 측이 학습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고 모델과 가중치(Weights)만 공개하고 있기에, 오픈 소스 이니셔티브(OSI) 정의상의 ‘완전한 오픈 소스’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보통 이 같은 유형을 ‘오픈 웨이트 모델(Open Weight Model)’이라 부르지만, 모델 구조와 가중치·파라미터만으로도 재현이 가능한 만큼, ‘오픈 소스 모델’이라 부르는 데도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However, DeepSeek only released the model code and weights, not the actual training data. So, strictly speaking, it doesn’t meet the Open Source Initiative (OSI) definition of open source. Typically, such releases are referred to as “Open Weight Models,” but since sharing the model structure and parameters is enough for replication, it’s arguably reasonable to label DeepSeek as an “open source model.”

흥미로운 점은 딥시크가 정부나 관 주도가 아닌 항저우 소재의 민간 스타트업이라는 것이다. 중국 총리가 뒤늦게 이를 알고 항저우로 직접 날아가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확인했다는 이야기는, 정부가 미리 이 성과를 예측하지 못했음을 방증한다. 중국 스타트업이 만들었다고 해서 자동으로 정부 후원 프로젝트라고 볼 수는 없으며, 오히려 정부가 나중에야 성공 소식을 접했다는 일화가 이를 뒷받침한다.

An interesting aspect of DeepSeek is that it is a private startup based in Hangzhou, rather than a government-led initiative. Reports suggest that the Chinese Premier was unaware of its achievements until later and rushed to Hangzhou to personally assess “what was happening,” indicating that the government had not foreseen this breakthrough. 

The fact that DeepSeek was developed by a Chinese startup does not automatically imply state sponsorship; on the contrary, the government’s delayed recognition of its success reinforces the notion that it was not a premeditated state-backed project.

한편, 미국의 일부 대형 벤처캐피털(VC)들이 막대한 LP(출자자) 자금을 독점적(proprietary) AI 모델에 투자해왔고, 미국 정부가 중국 등 경쟁 시장을 배제하도록 로비하고 있다는 지적도 있다. 그러나 트럼프 등 여러 인사를 상대로 제재를 요구하는 것만으로 세계적 혁신 흐름을 막기는 어렵다는 평가가 많다. 이미 AI가 더 이상 미국 대형 업체의 전유물이 아닐 수 있음을 중국 등 다양한 국가들이 보여주고 있으며, 그들은 오픈 소스저비용 전략을 통해 빠르게 추격 중이다.

Meanwhile, some argue that a handful of major U.S. venture capital firms, which have funneled substantial LP (limited partner) funds into expensive proprietary AI models, are lobbying the U.S. government to exclude China and other competing markets. However, many believe that simply pressuring Trump for sanctions is unlikely to halt the global tide of innovation. Countries like China have already demonstrated that AI is no longer the exclusive domain of large American corporations, and they are rapidly closing the gap by leveraging open-source models and cost-effective strategies.

또한 ‘중국산이라 믿을 수 없다’는 서구권 태도가 얼마나 실효성이 있을지는 의문이다. 막연한 반중 정서를 부추기는 식의 접근은 시장과 혁신 전반에 해를 끼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Likewise, the effectiveness of the Western stance dismissing technology solely because it originates from China remains uncertain. Some concerns that foster vague anti-China sentiment could harm the market and hinder overall innovation.

마지막으로, 개인정보 유출 우려와 관련해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텍스트를 입력한 뒤 ‘전송’ 버튼을 누르기 전까지는 서버에 전송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바스크립트 등의 스크립트로, 실시간 키 입력(간격·순서)을 추적해 ‘키보드 입력 패턴’을 수집할 기술적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딥시크 AI가 실제로 그런 입력 패턴을 몰래 수집하고 있다는 구체적 보고나 증거는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중국 안보 리스크를 과장해 막연히 불안감을 조성하는 프레임일 가능성이 높고, 충분한 객관적 근거 없이 성급한 결론을 내리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Finally, regarding data privacy concerns—ordinarily, text typed into a prompt doesn’t get uploaded to a server until the user actually hits “Send.” In other words, under typical conditions, keystroke patterns aren’t transmitted before submission. 

It’s technically possible, however, to use JavaScript or similar scripts to capture input in real-time (including timing intervals and key order) even before the “Send” button is pressed. So far, though, there’s no solid evidence or reports that DeepSeek AI actually collects such data.

Such speculation may reflect a frame intended to magnify security risks tied to China, thereby sparking vague fears without concrete proof. 

This is likely a framing tactic that exaggerates China’s security risks to fuel unfounded fears. It is crucial to avoid hasty conclusions without sufficient objective evidence.


논문에서 밝힌 DeepSeek-R1의 특징

Key Features of DeepSeek-R1 Highlighted in the Paper

2025년 1월 20일에 발표된 DeepSeek-R1 관련 논문을 보면, DeepSeek-R1이 다단계 강화학습을 기반으로 하는 하이브리드 모델임을 확인할 수 있다.

According to a paper published on January 20, 2025, about DeepSeek-R1, one can see that DeepSeek-R1 is a hybrid model grounded in multi-stage reinforcement learning.

Reference: Guo, D., et al. (2025). DeepSeek-R1: Incentivizing Reasoning Capability in LLMs via Reinforcement Learning. arXiv preprint arXiv:2501.12948.

논문에 따르면, DeepSeek R1은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aper, DeepSeek R1 can be summarized by the following key features:

1.  DeepSeek-R1-Zero:

  • 대규모 강화학습(large-scale Reinforcement Learning, RL)을 통해 사전 감독 학습(Supervised Fine-Tuning, SFT) 없이 학습된 모델.
  • 이 모델은 추론 능력이 뛰어나고 흥미로운 행동들을 자연스럽게 나타냄으로써 놀라운 성능을 보임.
  • 하지만 문제점으로는 문장 가독성(readability)이 낮고, 언어 혼합(language mixing) 문제가 있었음.

  • A model trained via large-scale reinforcement learning (RL) without supervised fine-tuning (SFT).
  • This model demonstrates outstanding performance by naturally exhibiting powerful reasoning capabilities and interesting behaviors.
  • However, it faced issues such as poor sentence readability and language mixing problems.

2.  DeepSeek-R1: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된 후속 모델로, 다단계 학습(multi-stage training)콜드 스타트 데이터(cold-start data)를 강화 학습(RL) 이전에 도입.
  • 이를 통해 추론 성능이 개선되었으며, 결과적으로 OpenAI-o1-1217과 유사한 수준의 성능을 달성.

  • A follow-up model was introduced to address these issues by incorporating multi-stage training and cold-start data before reinforcement learning (RL).
  • This approach improves reasoning performance and, as a result, achieves performance comparable to OpenAI-o1-1217.

3.  공개와 모델 확장:

  • 연구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해 DeepSeek-R1-Zero, DeepSeek-R1, 그리고 DeepSeek-R1에서 증류(distillation) 6개의 밀집(dense) 모델을 오픈소스로 제공.

  • 증류된 모델들은 각각 1.5B, 7B, 8B, 14B, 32B, 70B 파라미터 크기로 구성되며, Qwen Llama 아키텍처 기반으로 설계됨.
  • To support the research community, DeepSeek-R1-Zero, DeepSeek-R1, and six dense models distilled from DeepSeek-R1 are provided as open-source.
  • The distilled models come in configurations of 1.5B, 7B, 8B, 14B, 32B, and 70B parameters and are designed based on the Qwen and Llama architectures.

Wednesday, January 29, 2025

After completing the hearing at the UPC’s Mannheim Regional Division in Germany…



오랜만에 유럽, 그것도 독일 법정에서 열린 Oral hearing에 참석했습니다. 이번에는 독일 법원이 아니라 유럽통합특허법원(이하, UPC라 한다)에서 진행된 특허침해 소송이었기에 기대가 컸고, 그 기대는 충분히 충족되었습니다. 이 경험이 희미해지기 전에, 독일 만하임 지역법원(Mannheim Regional Division)에서 열린 UPC Oral hearing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기록해두고자 합니다.

It had been a while since I last attended an oral hearing in Europe,; this time, it was in a German courtroom. However, unlike previous cases in German courts, this was a patent infringement trial before the Unified Patent Court (UPC), which made the experience even more anticipated and it did not disappoint. Before the memories fade, I want to vividly document the atmosphere of the UPC oral hearing held at the Mannheim Regional Division in Germany.


Oral hearing는 절차적으로 한국에서 특허심판원에서는 "구술심리," 특허법원에서는 "변론"이라고 불리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Oral hearing을 '구술심리'라고 부르겠습니다.

Procedurally, an oral hearing is similar to what is referred to as "구술심리" (guseol simni)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IPTAB) and "변론" (byeonron) in the Korean Patent Court. Therefore, in this article, I will refer to an oral hearing as "구술심리" (guseol simni).

먼저, 당사자 대리인의 좌석 배치는 원고 측과 피고 측이 서로 마주 보게 삼각형 형태로 배치됩니다. 이는 법관을 바라보고 원고와 피고가 나란히 배치되는 한국 민사법정과는 다른 구조입니다. 방청석은 법대의 정면 반대편에 위치해 있어 재판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First, the seating arrangement for the parties’ representatives in the UPC courtroom follows a triangular formation, where the plaintiff’s and defendant’s counsel sit facing each other. This setup differs from Korean civil courts, where the plaintiff and defendant’s counsel are seated side by side, both facing the judges.

The public gallery is positioned directly opposite the bench, ensuring that observers have a clear view of the proceedings.


기억을 더듬어보면, 한국에서도 2009년 법대를 낮추고 당사자들이 서로 마주 보며 재판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삼각형 및 타원형 법정 배치를 검토한 적이 있었습니다. UPC 법정의 구조를 직접 경험해보니, 이러한 배치 방식이 절차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됩니다.

Looking back, Korea also considered modifying courtroom layouts in 2009 by lowering the judge’s bench and introducing triangular and oval seating arrangements to facilitate face-to-face proceedings between the parties. Experiencing the UPC courtroom firsthand has made me reflect on how such spatial arrangements influence the dynamics of legal proceedings.



저희 특허침해 소송에서는 피고 측이 특허 무효 반소를 제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술 판사 심리를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재판장은 기술 판사가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서면 공방에서 충분히 명확하게 설명해 주었기 때문에 사건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In our patent infringement lawsuit, the defendant did not file a counterclaim for patent invalidity. As a result, we did not request a technical judge to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During the opening remarks of the hearing, the presiding judge expressed his appreciation, noting that despite the absence of a technical judge, the submitted written documents were clear and well-organized, making it easy to understand the case.

잘 아시다시피, UPC 만하임 지역법원(UPC Mannheim Regional Division)의 법률 판사는 총 3명이며, 이들이 합의부를 구성해 만하임 지역법원에서 진행되는 사건을 심리합니다. 반면, 기술 판사는 분야별로 여러 명이 풀(pool) 형태로 선임되어 있으며, 특정 사건의 필요에 따라 심리에 참여하게 됩니다.

As you may know, the UPC Mannheim Regional Division is presided over by a panel of three legal judges, who adjudicate all cases before the court. In contrast, technical judges are appointed under a pool system, with multiple experts in various fields available for assignment as needed.


구술심리는 약 8개월 동안 당사자 간에 교환된 서면 공방을 마친 후 집중적으로 진행됩니다. 서면공방은 공평하게 서로 교번하여 제출하는 방식으로 엄격하게 진행됩니다. 한국에서도 충분한 서면 공방이 이루어진 후 구술심리나 변론 기일이 잡히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The oral hearing takes place after approximately eight months of written exchanges between the parties, during which they engage in a structured and strictly alternating submission process to ensure fairness. This approach is somewhat similar to the Korean system, where a sufficient exchange of written arguments precedes the scheduling of an oral hearing or trial session.


다만, UPC의 절차에서 차이가 있다면 서면 공방에서 각 당사자는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박만 가능하며, 새로운 주장을 하려면 법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원고는 첫 소장에서 청구 이유와 관련 증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하고, 피고는 답변서와 관련 증거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첫 번째 반박서는 절차의 핵심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However, one key difference in the UPC procedure is that during the written stage, each party is only allowed to respond to the opposing party’s argumentsintroducing new arguments requires prior court approval. This means the plaintiff must clearly present the grounds for the claim and supporting evidence in the initial complaint, while the defendant must thoroughly prepare a response brief and supporting evidence. Notably, the first rebuttal brief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ceedings, making it one of the most critical submissions in the case.


구술심리는 기술적 쟁점과 법률적 쟁점을 분리하여 진행되며, 저희 사건은 난이도가 높은 하이테크(high-tech) 사안이 아님에도 약 6시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일부 사건의 경우 8시간을 넘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재판장은 중간 중간 5~10분씩 휴정을 선언해 휴식 시간을 주었으며, 그 시간 동안 재판부는 주요 쟁점을 간략히 논의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The oral hearing is structured to separately address technical and legal issues. Although our case did not involve a particularly high-tech or complex subject matter, the hearing still lasted approximately six hours. In some cases, hearings can extend beyond eight hours.
To accommodate this, the presiding judge periodically called for short recesses of 5 to 10 minutes, allowing participants to take a break. During these recesses, the judges appeared to briefly discuss the key issues before resuming the proceedings.


우리나라에서는 구술심리나 변론에서 원고와 피고가 각각 15분 정도 법관을 향해 변론한 후, 양측 간 구두 공방을 허용하거나 재판부가 직접 질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UPC에서는 그 진행방식이 조금 달랐습니다.

In Korea, during an oral hearing or trial session, the plaintiff and defendant typically present their arguments to the court for about 15 minutes each, after which the proceedings either allow direct oral exchanges between the parties or the judges intervene with questions.

However, the UPC follows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in conducting its hearings.


우선, 재판장은 심리의 서두에서 자신이 특허 문헌을 통해 이해한 특허발명의 기술 및 배경기술을 설명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리 각 당사자에게 통지된 구술심리 준비명령서에서 지정된 주요 쟁점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도 하고, 특허발명의 이해가 어려운 부분을 질문 형식으로 제시합니다. 특허 명세서와 청구항의 구성을 한 줄씩 읽어나가며, 각 표현의 의미와 중요성을 당사자들에게 묻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At the outset of the hearing, the presiding judge explains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tented invention and its background technology based on the patent documents. During this process, the judge also raised questions on key issues identified in the oral hearing preparation order, which had been communicated to both parties in advance. Additionally, if any aspects of the patented invention are difficult to interpret, the judge presents them as questions.

The hearing proceeds in a structured and meticulous manner, with the judge reading through the patent specification and claim elements line by line, asking the parties to clarify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pecific terms and phrases.


구술심리 준비명령서에는 구술심리에서 다뤄야 할 기술적 및 법률적 쟁점이 질문 형식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주로 청구범위 해석과 관련하여 재판부가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나 표현, 그리고 당사자 주장에서 모호한 부분이 질문 형태로 정리됩니다. 또한, 핵심 법률적 쟁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부분 역시 질문의 형태로 정리됩니다.

The oral hearing preparation order outlines the technical and legal issues to be addressed during the hearing in the form of specific questions. These questions primarily focus on claim interpretation, identifying terms or expressions that the court finds difficult to understand, as well as ambiguous aspects of the parties' arguments.

Additionally, key legal issues requiring further discussion are also presented in a question format, ensuring that all critical matters are systematically examined during the proceedings.


구술심리에서는 원고와 피고의 대리인이 재판장의 질문에 답하거나 보충 설명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재판부는 특허 명세서의 발명의 설명 및 도면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관련 단락별로 집중적으로 검토하며, 해당 기술과 내용의 이해에 대해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이 과정에서, 재판부가 준비명령서에서 제기한 청구항 용어나 표현의 쟁점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면, 각 당사자는 이에 대한 답변과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During the oral hearing, the plaintiff’s and defendant’s counsel respond to the presiding judge’s questions and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as needed. The court places significant emphasis on analyzing the patent specification, particularly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carefully reviewing relevant sections to determine how they should be interpreted. Considerable time is dedicated to ensur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and its details.

As part of this process, the court requires clarification on disputed claim terms or expressions identified in the preparation order. Each party must provide clear answers and supporting arguments, ensuring that the judges fully comprehend the technical and legal aspects of the case.

심리는 마치 판사와 대리인이 서로 자신의 의견을 주고받으며 논의하는 토론 형식으로 이어집니다. 재판부는 특허 문헌과 양측 주장을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질문을 던지며, 자신의 해석을 피력하고 논의를 이어갑니다. 특정 쟁점에서 의견 차이가 발생하면, 재판부는 계속해서 질문을 던져 이견을 좁히거나 논의를 핵심 쟁점으로 집중시킵니다. 이러한 논의 방식은 마치 기술 학술대회에서 발표자와 청중이 토론하는 분위기를 연상케 합니다.

The proceedings take on a discussion-based format, where judges and legal representatives actively exchange their views in a structured debate. The court continuously poses questions until it gains a full understanding of the patent documents and the arguments presented by both parties, while also offering its own interpretations to drive the discussion forward.

If a dispute arises over a particular issue, the judges persistently probe the matter, either to narr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es or to sharpen the focus on the key points of contention. This interactive approach closely resembles the atmosphere of a technical conference, where presenters and the audience engage in an in-depth academic discussion.


쟁점이 된 청구항 해석에 대한 양측 설명이 끝나면, 재판장은 대리인들을 중앙으로 모이게 하여, 실제 제품을 보면서 대리인에게 특허발명의 해당 구성과 특징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설명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러한 설명이 끝난 후, 판사들은 각자의 의견을 밝히며 추가 질문을 던지고, 심리를 이어갑니다.

Once both parties have presented their arguments regarding claim interpretation, the presiding judge directs the attorneys to gather at the center of the courtroom to examine the actual product. During this phase, the attorneys are required to identify and explain which specific components and features of the product correspond to the patented invention.

After this explanation, the judges express their views, raise additional questions, and continue the hearing, further refining the discussion based on the presented arguments and evidence.


기술 쟁점에 대한 토론이 끝난 후 잠시 휴정을 한 뒤, 본격적으로 법률 쟁점으로 넘어갑니다.

법률 쟁점 역시 재판장이 먼저 해당 쟁점이 왜 중요한 법적 논점이 되는지를 설명한 후, 양측 대리인에게 의견을 묻습니다. 이때 단순한 주장이 아니라, 명확한 법적 근거와 판례를 들어 설명할 것을 요구합니다. 대리인의 답변이 끝나면, 판사들은 자신의 의견을 밝히며 다시 대리인들과 토론을 이어갑니다. 법률적 논의를 심도 있게 다루는 이 과정은 마치 법률 학술대회에서 전문가들이 쟁점을 놓고 토론하는 분위기를 연상시킵니다.

After concluding the discussion on technical issues, the court takes a brief recess before transitioning to the legal issues.

As with the technical phase, the presiding judge first explains why each legal issue is significant, framing the key legal questions at stake. The judge then invites both parties’ attorneys to present their views, requiring them to support their arguments with clear legal principles and relevant case law, rather than making mere assertions.

Once the attorneys provide their responses, the judges express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engage in further discussion with the attorneys. This phase of the hearing involves a deep legal analysis, creating an atmosphere reminiscent of a legal academic conference, where experts rigorously debate and refin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UPC에서의 Oral hearing은 단순한 변론이 아니라, 판사와 대리인 간의 기술적·법률적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토론의 장과 같습니다. 이번 심리를 진행하며, 과거 미국 Federal Central District of California (C.D. Cal.)에서 필립스와 특허소송을 진행했을 때의 Markman hearing이 떠올랐습니다. 당시에도 판사와 대리인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마치 학술토론회처럼 심리가 진행되었는데, UPC의 심리 역시 그러한 방식과 유사했습니다.

At the UPC, an oral hearing is not merely a formal presentation of arguments but rather a forum for in-depth discussions between the judges and legal representatives on both technical and legal issues. The process is highly interactive, resembling a structured debate where the court actively engages with the parties to clarify and refine key points.

As I participated in this hearing, I was reminded of a Markman hearing from a patent litigation case against Philips that I handled before the Federal Central District of California (C.D. Cal.) in the past. In that case, too, the judge and attorneys engaged in a dynamic exchange of viewpoints, making the hearing feel more like an academic symposium than a conventional trial. The UPC’s approach to oral hearings follows a similarly rigorous and discussion-driven model.


6시간에 걸친 모든 절차가 끝나자, 재판장은 판결 선고 예정일을 알려주었습니다. Oral hearing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심리가 종결되었음을 의미하며, 이후 추가적인 서면 공방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침해 판단과 손해배상 판단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침해 판단은 마치 우리나라에서의 중간 판결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After six hours of proceedings, the presiding judge announced the expected date for the judgment. The conclusion of the oral hearing signifies the formal closure of the trial, meaning that no further written submissions will be allowed. The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and damages follows a staged approach, with the infringement ruling functioning similarly to an interim judgment in Korean courts.


한편, 산업의 숙련된 기술자의 입장에서 관련 기술과 배경기술, 그리고 숙련된 기술자가 보유한 기술 상식을 좀 더 설명하고 싶은 욕심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재판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특허 명세서를 중심으로 청구항의 각 구성요소를 해석하는 것이었고, 결국 재판부가 이를 충분히 이해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dustry expert, I admittedly felt the urge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s on the relevant technology,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common technical understanding of a skilled person in the field. However, I was once again reminded that the core focus of the proceedings is the interpretation of claim elem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atent specification. Ultimately, the most critical aspect of the trial is ensuring that the court fully comprehends the patent at issue, rather than presenting additional technical insights beyond what is necessary for claim construction.


이번 사건의 결론이 어떻게 나올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과거 UPC 출범 이전에 독일 법정에서 열린 구술심리에서는 판사가 재판 도중 결론을 직접 언급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이번 심리에서는 그러한 언급 없이 단순히 "충분히 이해했다"는 말이 전부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UPC 구술심리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은 무엇보다 값진 것이었습니다.

The outcome of this case remains uncertain. In the past, before the UPC was established, it was common for judges in German courts to indicate their position on the case during oral hearings. However, in this hearing, the judges refrained from making any such remarks, stating only that they had “fully understood” the arguments presented.

Nevertheless, the experience and insights gained from this UPC oral hearing have been invaluable, off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urt’s procedural approach and judicial reasoning.


무엇보다도 장시간 동안 우리 사건을 위해 헌신적으로 애써준 대리인과 그들의 팀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만약 우리가 승소한다면, 우리 측 대리인이 누구인지도 공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Above all, I am deeply grateful to our legal representatives and their team for their tireless dedication and hard work throughout this lengthy and demanding case. If we prevail in this litigation, I would be more than happy to publicly acknowledge our legal team and their contributions.


구술심리 준비명령서에서 제시된 쟁점과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느라 며칠간 잠을 설치고,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한 자료를 제작하며, 대리인과 변론 방향을 논의하느라 긴장 속에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긴장이 풀리니 극심한 피로가 몰려옵니다.

I spent several tense days preparing responses to the issues and questions outlined in the oral hearing preparation order, working through sleepless nights to create materials that would facilitate clearer understanding while strategizing with our legal team on the direction of our arguments. Now that the hearing is over and the tension has finally eased, an overwhelming sense of exhaustion is setting in.


구술심리가 끝난 후, 변론을 이끈 변호사의 한마디 "All good." 이라는 자신감 있는 답변을 듣고, 좋은 결과를 기대하며 귀국을 준비합니다.

After the oral hearing concluded, I heard our lead attorney confidently say, "All good." With that reassuring remark, I now look forward to a favorable outcome as I prepare for my return home.



Sunday, January 19, 2025

유럽 사내 변리사 대리권 논란 (Microsoft Corp v Suinno Mobile 사건)

유럽 사내 변리사 대리권 논란 (Microsoft Corp v Suinno Mobile 사건) 

유럽 IP Federation은 오늘 유럽통합특허법원(UPC) 항소 법원의 주심 판사인 Grabinski 판사에게 서한을 보내 Microsoft Corp v Suinno Mobile 사건에서 1심 법원이 내린 판결에 대한 깊은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이 판결은 특정 사건에서의 판단이, 사내 변리사가 고용주를 대신해 UPC에서 소송을 대리할 수 없다는 잘못된 선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이 판결은 사내 변리사를 활용하려는 중소기업에게 비용 부담과 선택 제한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내 변리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부 변리사를 추가적으로 고용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 문제는 유럽 변리사(European Patent Attorney, EPA)의 독특한 지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EPA는 통합된 직업군으로, 사내 변리사와 외부 변리사를 구분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EPA 자격을 보유한 변리사는 동일한 전문성을 가지며, 고용 형태에 따라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점이 강조됩니다.


IP Federation은 사내 변리사의 대표성을 배제하는 것이 기업, 특히 중소기업의 대리인 선택권을 제한하고 특정 소송 참여를 어렵게 만들 뿐만 아니라, 기업의 소송 비용 부담을 증가시킨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비용 효율성을 핵심으로 내세운 UPC의 철학과도 모순된다고 지적합니다.


비록 이번 판결이 특정 사건에서 이해 상충과 같은 개별적인 문제를 다룬 결과일 수 있지만, 이 판결이 선례로 남아 사내 변리사 대표성을 포괄적으로 제한할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큽니다. 따라서 이번 기회를 통해 사내 변리사 대표성에 대한 명확한 규정과 선례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


출처: IP Federation 공식 웹사이트


Debate Over In-House European Patent Attorney Representation (Microsoft Corp v Suinno Mobile Case)


The European IP Federation has expressed deep concern over a recent decision by the Unified Patent Court (UPC) Court of First Instance in the Microsoft Corp v Suinno Mobile case. In a letter sent to Judge Grabinski, the presiding judge of the UPC Court of Appeal, the Federation warned about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 ruling.


The decision raises concerns that it could establish a troubling precedent, effectively barring in-house patent attorneys from representing their employers before the UPC.


This ruling could impose significant burdens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that rely on in-house patent counsel to manage litigation costs. For instance, even companies with qualified in-house attorneys may be forced to retain external representatives, incurring unnecessary additional expenses.


The issue is closely tied to the unique status of European Patent Attorneys (EPAs). EPAs constitute a unified professional group under European law, with no distinction between in-house and outside practitioners. As such, EPAs are recognized as having the same level of expertise regardless of their employment type, and any form of discrimination based on this distinction is unwarranted.


The IP Federation argues that excluding in-house attorneys from representation restricts companies—particularly SMEs—from exercising their right to choose representatives and creates barriers to effective participation in UPC litigation. Additionally, this exclusion undermines the UPC’s commitment to cost-efficient patent litigation, which is a cornerstone of its framework.


While the ruling may have addressed specific issues such as conflicts of interest in this particular case, there is widespread concern that it could serve as a precedent to broadly restrict in-house attorney representation before the UPC. The IP Federation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using this opportunity to establish clear guidelines and precedents that uphold the ability of in-house attorneys to represent their employers.


Source: IP Federation Official Website


Saturday, January 18, 2025

Utilizing AI as a Productivity Tool: Future Competitiveness

AI와 생산성 도구 활용: 미래의 경쟁력 

Utilizing AI as a Productivity Tool: Future Competitiveness


AI를 엑셀이나 워드처럼 생산성 도구로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업무 효율성과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AI는 데이터 분석, 텍스트 생성, 문서 요약, 자동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도구로 이미 많은 기업에서 도입되어 실질적인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If AI is effectively utilized as a productivity tool like Excel or Word, it could drastically enhance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in the workplace. AI is already being adopted by many companies as a tool to increase productivity in various fields, including data analysis, text generation, document summarization, and automation, yielding tangible results.

나는 지시한다, 고로 창작한다 - AI와 창작자의 새로운 관계, "I Direct, Therefore I Create" - The New Relationship Between AI and the Creator

AI 시대의 창작자, 나는 누구인가? / Who is the Creator in the Age of AI? AI에게 '지시'만 내린 사람, 과연 창작자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