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posts with label patent. Show all posts
Showing posts with label patent. Show all posts

Friday, February 7, 2025

특허출원 건수가 기술 혁신리더의 증거인가 (Is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evide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leadership)?

우리나라에서는 미국 내 특허 출원 건수를 근거로 우리가 첨단 기술 주도권을 확보하고 있다며 안도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미국은 빅테크 기업들의 출원 건수나 순위 자체에는 큰 의미를 두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동아시아 국가들이 미국 내 특허 출원에서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는 부분은 미국내 미치는 영향 때문에 경계하고는 있지만, 미국은 기술 혁신의 강점을 빅테크가 아닌 분산된 리틀테크(스타트업, 중소기업, 대학, 개인 발명가 등)의 네트워크에서 찾고 있는 것이 인상적입니다.

In Korea, there is a tendency to feel reassured about having secured leadership in advanced technologies by focusing on the number of U.S. patent applications filed by Korean companies. However, the U.S. doesn’t seem to place much emphasis on the application numbers or rankings of big tech companies. While the high share of U.S. patent applications from East Asian countries—such as Korea and China—raises concerns due to its potential impact on the domestic market, it’s notable that the U.S. views its strength in technological innovation as stemming not from big tech but from a decentralized network of “little tech” players (startups, small businesses, universities, and individual inventors).

PatentlyO 블로그를 운영하는 Dennis 교수의 LinkedIn 글과 블로그를 보면, 한국과 중국 등 동아시아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 빅테크보다 높은 특허 출원 순위를 기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이것이 미국이 기술 혁신의 주도권을 상실했다는 증거는 아니라는 점을 강조합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양적 순위는 낮을 수 있지만, 미국의 혁신은 대기업이 아닌 리틀테크의 분산된 생태계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고 합니다. 저도 그 주장에 동의합니다.

According to Dennis Crouch, the professor behind the PatentlyO blog, East Asian big tech companies like those from Korea and China rank higher than U.S. big tech companies in terms of patent filings. However, he emphasizes that this is not evidence of the U.S. losing its leadership in innovation. While the quantitative rankings of U.S. big tech companies may fall behind, the core of U.S. innovation is driven by the vibrant, decentralized ecosystem of small tech players. I fully agree with this perspective.

따라서 개별 기업의 순위를 완전히 무시할 필요는 없지만, 미국의 전반적인 기술 혁신력은 여전히 강력하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결국, 이는 과거 빅테크 중심으로 왜곡되었던 특허 정책을 리틀테크(발명자) 중심으로 전환해, 특허제도가 본래 지향해야 할 균형과 혁신 생태계를 회복해야 한다는 함의를 담고 있습니다.

While individual company rankings shouldn’t be completely ignored, the broader message is that the overall U.S. innovation capacity remains robust. Ultimately, this implies that the patent system, which has become skewed toward big tech in the past, should shift back toward supporting little tech players and restore its role in fostering a balanced, innovation-driven ecosystem.

저는 미국의 강점을 더 강화하기 위해서는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확대와 빅 테크 기업과 리틀 테크 기업 간의 협력을 장려하는 정책이 매우 효과적일 것이며, 또한, 특허 출원 건수나 순위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전 세계적으로 혁신의 질과 상업적 성공을 더 잘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지표를 개발해야 한다고 댓글을 달았습니다.

In my response, I noted that to further enhance the U.S.’s strengths, it would be highly effective to increase investments in startups and small businesses and encourage collaboration between big tech and little tech companies. Additionally, I suggested that developing new metrics to better assess the quality of innovation and commercial success globally,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patent filing numbers or rankings, would be crucial.


Friday, January 31, 2025

A summary of the background technologies applied in DeepSeek-R1

Detailed Explanation of the Foundational Research Behind DeepSeek-R1

The success of DeepSeek-R1 lies in its ability to harness multiple foundational breakthroughs in AI research and strategically merge them to produce a high-performance, cost-efficient system. Below is a closer look at the key research areas and innovations that serve as its backbone:

DeepSeek-R1에 적용된 선행 연구들의 상세한 설명

DeepSeek-R1의 성공은 여러 핵심 AI 연구의 혁신을 전략적으로 결합하여 높은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달성한 데에 있다. 여기에서는 DeepSeek-R1의 근간이 된 주요 연구와 혁신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1. Reinforcement Learning (RL) and Policy Optimization

Core Idea: Reinforcement Learning teaches AI through trial and error by assigning rewards to desired outcomes. The Group Relative Policy Optimization (GRPO) used in DeepSeek-R1 builds upon previous research in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PPO), introduced by OpenAI.

  • Foundational Work:

    • Schulman et al.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PPO is a method for optimizing policies in reinforcement learning by balancing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while maintaining stability in updates. GRPO extends this by considering group-level optimization rather than individual sample-based feedback, allowing scalable and global policy adjustments.
    • Schulman, J., Wolski, F., Dhariwal, P., Radford, A., & Klimov, O.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arXiv preprint arXiv:1707.06347.
  • Impact on DeepSeek:
    GRPO enables DeepSeek to efficiently handle diverse inputs and dynamically optimize its policy across various scenarios. This approach ensures that the AI can generalize and improve decision-making without requiring excessive computation.

1. 강화학습(RL)과 정책 최적화

핵심 아이디어: 강화학습은 시행착오를 통해 원하는 결과에 보상을 부여함으로써 AI를 학습시키는 방식이다. DeepSeek-R1는 OpenAI에서 도입한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PPO)의 개념을 확장한 Group Relative Policy Optimization (GRPO)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 기초 연구:

    • Schulman et al.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PPO는 탐색과 착취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정책 업데이트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최적화 방법이다. GRPO는 이를 그룹 수준의 최적화로 확장하여, 개별 샘플이 아닌 글로벌 피드백을 기반으로 정책을 최적화한다.
    • Schulman, J., Wolski, F., Dhariwal, P., Radford, A., & Klimov, O. (2017). Proximal policy optimization algorithms. arXiv preprint arXiv:1707.06347.
  • DeepSeek에 미친 영향:
    GRPO는 다양한 입력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정책을 지엽적인 아닌 전 글로벌하게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AI의 의사결정 능력을 향상시킨다.

2. Reward Modeling and Rejection Sampling

DeepSeek-R1 incorporates rejection sampling, a technique that ensures only high-quality responses are used for further training through Supervised Fine-Tuning (SFT). This concept is derived from Paul F. Christiano et al.’s RLHF framework.

  • Foundational Work:

    • Christiano et al.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This paper introduced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Feedback (RLHF), a method where humans provide feedback on AI-generated responses, and the AI is fine-tuned based on this feedback. 
    • Christiano, P. F., Leike, J., Brown, T., Martic, M., Legg, S., & Amodei, D.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30.
    • Further developments: Rejection sampling extends this by adding a filtering step where suboptimal responses are rejected before being incorporated into the supervised learning dataset.
  • Impact on DeepSeek:
    DeepSeek-R1 adapts this process to include rule-based feedback (AI-based feedback from RLAIF) in addition to human oversight, allowing for faster feedback loops while avoiding reward hacking and resource-intensive retraining.

2. 보상 모델링과 거부 샘플링

DeepSeek-R1는 거부 샘플링(rejection sampling)을 활용하여 고품질 응답만 학습에 사용되도록 한다. 이는 OpenAI의 RLHF(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프레임워크에서 발전한 개념이다.

  • 기초 연구:

    • Christiano et al.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이 논문은 AI가 생성한 응답에 대해 사람이 피드백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AI를 미세 조정하는 RLHF 방법론을 소개했다.
    • Christiano, P. F., Leike, J., Brown, T., Martic, M., Legg, S., & Amodei, D. (2017). Deep reinforcement learning from human preferences.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30.
    • 거부 샘플링의 확장: 거부 샘플링은 이 과정에 필터링 단계를 추가하여, 질 낮은 응답을 걸러내고 고품질 응답만 학습에 반영한다.
  • DeepSeek에 미친 영향:
    DeepSeek-R1는 인간 피드백 대신 AI 피드백을 포함하여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피드백 루프를 제공하며, 보상 해킹과 자원 소모를 줄인다. 대형 언어 모델(LLM)이 생성한 선호도를 기반으로 보상 모델(RM)을 훈련시키는 AI 피드백에서의 강화 학습(RLAIF)은 Bai 등(2022b)에서 소개되어 있다. 
  • Bai, Y., Kadavath, S., Kundu, S., Askell, A., Kernion, J., Jones, A., ... & Kaplan, J. (2022). Constitutional ai: Harmlessness from ai feedback. arXiv preprint arXiv:2212.08073.

Wednesday, January 29, 2025

After completing the hearing at the UPC’s Mannheim Regional Division in Germany…



오랜만에 유럽, 그것도 독일 법정에서 열린 Oral hearing에 참석했습니다. 이번에는 독일 법원이 아니라 유럽통합특허법원(이하, UPC라 한다)에서 진행된 특허침해 소송이었기에 기대가 컸고, 그 기대는 충분히 충족되었습니다. 이 경험이 희미해지기 전에, 독일 만하임 지역법원(Mannheim Regional Division)에서 열린 UPC Oral hearing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기록해두고자 합니다.

It had been a while since I last attended an oral hearing in Europe,; this time, it was in a German courtroom. However, unlike previous cases in German courts, this was a patent infringement trial before the Unified Patent Court (UPC), which made the experience even more anticipated and it did not disappoint. Before the memories fade, I want to vividly document the atmosphere of the UPC oral hearing held at the Mannheim Regional Division in Germany.


Oral hearing는 절차적으로 한국에서 특허심판원에서는 "구술심리," 특허법원에서는 "변론"이라고 불리는 과정과 유사합니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Oral hearing을 '구술심리'라고 부르겠습니다.

Procedurally, an oral hearing is similar to what is referred to as "구술심리" (guseol simni) in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Trial and Appeal Board (IPTAB) and "변론" (byeonron) in the Korean Patent Court. Therefore, in this article, I will refer to an oral hearing as "구술심리" (guseol simni).

먼저, 당사자 대리인의 좌석 배치는 원고 측과 피고 측이 서로 마주 보게 삼각형 형태로 배치됩니다. 이는 법관을 바라보고 원고와 피고가 나란히 배치되는 한국 민사법정과는 다른 구조입니다. 방청석은 법대의 정면 반대편에 위치해 있어 재판 과정을 지켜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First, the seating arrangement for the parties’ representatives in the UPC courtroom follows a triangular formation, where the plaintiff’s and defendant’s counsel sit facing each other. This setup differs from Korean civil courts, where the plaintiff and defendant’s counsel are seated side by side, both facing the judges.

The public gallery is positioned directly opposite the bench, ensuring that observers have a clear view of the proceedings.


기억을 더듬어보면, 한국에서도 2009년 법대를 낮추고 당사자들이 서로 마주 보며 재판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삼각형 및 타원형 법정 배치를 검토한 적이 있었습니다. UPC 법정의 구조를 직접 경험해보니, 이러한 배치 방식이 절차의 진행에 미치는 영향을 다시금 생각해보게 됩니다.

Looking back, Korea also considered modifying courtroom layouts in 2009 by lowering the judge’s bench and introducing triangular and oval seating arrangements to facilitate face-to-face proceedings between the parties. Experiencing the UPC courtroom firsthand has made me reflect on how such spatial arrangements influence the dynamics of legal proceedings.



저희 특허침해 소송에서는 피고 측이 특허 무효 반소를 제기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술 판사 심리를 요청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재판장은 기술 판사가 참여하지 않았음에도 서면 공방에서 충분히 명확하게 설명해 주었기 때문에 사건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뜻을 전했습니다.

In our patent infringement lawsuit, the defendant did not file a counterclaim for patent invalidity. As a result, we did not request a technical judge to participate in the proceedings. During the opening remarks of the hearing, the presiding judge expressed his appreciation, noting that despite the absence of a technical judge, the submitted written documents were clear and well-organized, making it easy to understand the case.

잘 아시다시피, UPC 만하임 지역법원(UPC Mannheim Regional Division)의 법률 판사는 총 3명이며, 이들이 합의부를 구성해 만하임 지역법원에서 진행되는 사건을 심리합니다. 반면, 기술 판사는 분야별로 여러 명이 풀(pool) 형태로 선임되어 있으며, 특정 사건의 필요에 따라 심리에 참여하게 됩니다.

As you may know, the UPC Mannheim Regional Division is presided over by a panel of three legal judges, who adjudicate all cases before the court. In contrast, technical judges are appointed under a pool system, with multiple experts in various fields available for assignment as needed.


구술심리는 약 8개월 동안 당사자 간에 교환된 서면 공방을 마친 후 집중적으로 진행됩니다. 서면공방은 공평하게 서로 교번하여 제출하는 방식으로 엄격하게 진행됩니다. 한국에서도 충분한 서면 공방이 이루어진 후 구술심리나 변론 기일이 잡히는 방식과 유사합니다.

The oral hearing takes place after approximately eight months of written exchanges between the parties, during which they engage in a structured and strictly alternating submission process to ensure fairness. This approach is somewhat similar to the Korean system, where a sufficient exchange of written arguments precedes the scheduling of an oral hearing or trial session.


다만, UPC의 절차에서 차이가 있다면 서면 공방에서 각 당사자는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박만 가능하며, 새로운 주장을 하려면 법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즉, 원고는 첫 소장에서 청구 이유와 관련 증거를 명확히 제시해야 하고, 피고는 답변서와 관련 증거를 철저히 준비해야 합니다. 특히, 첫 번째 반박서는 절차의 핵심이 되므로 매우 중요합니다.

However, one key difference in the UPC procedure is that during the written stage, each party is only allowed to respond to the opposing party’s argumentsintroducing new arguments requires prior court approval. This means the plaintiff must clearly present the grounds for the claim and supporting evidence in the initial complaint, while the defendant must thoroughly prepare a response brief and supporting evidence. Notably, the first rebuttal brief plays a crucial role in the proceedings, making it one of the most critical submissions in the case.


구술심리는 기술적 쟁점과 법률적 쟁점을 분리하여 진행되며, 저희 사건은 난이도가 높은 하이테크(high-tech) 사안이 아님에도 약 6시간 동안 진행되었습니다. 일부 사건의 경우 8시간을 넘기기도 한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재판장은 중간 중간 5~10분씩 휴정을 선언해 휴식 시간을 주었으며, 그 시간 동안 재판부는 주요 쟁점을 간략히 논의하는 것으로 보였습니다.

The oral hearing is structured to separately address technical and legal issues. Although our case did not involve a particularly high-tech or complex subject matter, the hearing still lasted approximately six hours. In some cases, hearings can extend beyond eight hours.
To accommodate this, the presiding judge periodically called for short recesses of 5 to 10 minutes, allowing participants to take a break. During these recesses, the judges appeared to briefly discuss the key issues before resuming the proceedings.


우리나라에서는 구술심리나 변론에서 원고와 피고가 각각 15분 정도 법관을 향해 변론한 후, 양측 간 구두 공방을 허용하거나 재판부가 직접 질문을 던지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그러나 UPC에서는 그 진행방식이 조금 달랐습니다.

In Korea, during an oral hearing or trial session, the plaintiff and defendant typically present their arguments to the court for about 15 minutes each, after which the proceedings either allow direct oral exchanges between the parties or the judges intervene with questions.

However, the UPC follows a slightly different approach in conducting its hearings.


우선, 재판장은 심리의 서두에서 자신이 특허 문헌을 통해 이해한 특허발명의 기술 및 배경기술을 설명합니다. 이 과정에서, 미리 각 당사자에게 통지된 구술심리 준비명령서에서 지정된 주요 쟁점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도 하고, 특허발명의 이해가 어려운 부분을 질문 형식으로 제시합니다. 특허 명세서와 청구항의 구성을 한 줄씩 읽어나가며, 각 표현의 의미와 중요성을 당사자들에게 묻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At the outset of the hearing, the presiding judge explains their understanding of the patented invention and its background technology based on the patent documents. During this process, the judge also raised questions on key issues identified in the oral hearing preparation order, which had been communicated to both parties in advance. Additionally, if any aspects of the patented invention are difficult to interpret, the judge presents them as questions.

The hearing proceeds in a structured and meticulous manner, with the judge reading through the patent specification and claim elements line by line, asking the parties to clarify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specific terms and phrases.


구술심리 준비명령서에는 구술심리에서 다뤄야 할 기술적 및 법률적 쟁점이 질문 형식으로 정리되어 있습니다. 주로 청구범위 해석과 관련하여 재판부가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나 표현, 그리고 당사자 주장에서 모호한 부분이 질문 형태로 정리됩니다. 또한, 핵심 법률적 쟁점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부분 역시 질문의 형태로 정리됩니다.

The oral hearing preparation order outlines the technical and legal issues to be addressed during the hearing in the form of specific questions. These questions primarily focus on claim interpretation, identifying terms or expressions that the court finds difficult to understand, as well as ambiguous aspects of the parties' arguments.

Additionally, key legal issues requiring further discussion are also presented in a question format, ensuring that all critical matters are systematically examined during the proceedings.


구술심리에서는 원고와 피고의 대리인이 재판장의 질문에 답하거나 보충 설명을 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특히, 재판부는 특허 명세서의 발명의 설명 및 도면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지를 관련 단락별로 집중적으로 검토하며, 해당 기술과 내용의 이해에 대해 많은 시간을 투자합니다. 이 과정에서, 재판부가 준비명령서에서 제기한 청구항 용어나 표현의 쟁점에 대한 해명을 요구하면, 각 당사자는 이에 대한 답변과 근거를 제시해야 합니다.

During the oral hearing, the plaintiff’s and defendant’s counsel respond to the presiding judge’s questions and provide additional explanations as needed. The court places significant emphasis on analyzing the patent specification, particularly the description and drawings, carefully reviewing relevant sections to determine how they should be interpreted. Considerable time is dedicated to ensuring a thorough understanding of the technology and its details.

As part of this process, the court requires clarification on disputed claim terms or expressions identified in the preparation order. Each party must provide clear answers and supporting arguments, ensuring that the judges fully comprehend the technical and legal aspects of the case.

심리는 마치 판사와 대리인이 서로 자신의 의견을 주고받으며 논의하는 토론 형식으로 이어집니다. 재판부는 특허 문헌과 양측 주장을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질문을 던지며, 자신의 해석을 피력하고 논의를 이어갑니다. 특정 쟁점에서 의견 차이가 발생하면, 재판부는 계속해서 질문을 던져 이견을 좁히거나 논의를 핵심 쟁점으로 집중시킵니다. 이러한 논의 방식은 마치 기술 학술대회에서 발표자와 청중이 토론하는 분위기를 연상케 합니다.

The proceedings take on a discussion-based format, where judges and legal representatives actively exchange their views in a structured debate. The court continuously poses questions until it gains a full understanding of the patent documents and the arguments presented by both parties, while also offering its own interpretations to drive the discussion forward.

If a dispute arises over a particular issue, the judges persistently probe the matter, either to narrow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arties or to sharpen the focus on the key points of contention. This interactive approach closely resembles the atmosphere of a technical conference, where presenters and the audience engage in an in-depth academic discussion.


쟁점이 된 청구항 해석에 대한 양측 설명이 끝나면, 재판장은 대리인들을 중앙으로 모이게 하여, 실제 제품을 보면서 대리인에게 특허발명의 해당 구성과 특징이 어디에 해당하는지를 설명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이러한 설명이 끝난 후, 판사들은 각자의 의견을 밝히며 추가 질문을 던지고, 심리를 이어갑니다.

Once both parties have presented their arguments regarding claim interpretation, the presiding judge directs the attorneys to gather at the center of the courtroom to examine the actual product. During this phase, the attorneys are required to identify and explain which specific components and features of the product correspond to the patented invention.

After this explanation, the judges express their views, raise additional questions, and continue the hearing, further refining the discussion based on the presented arguments and evidence.


기술 쟁점에 대한 토론이 끝난 후 잠시 휴정을 한 뒤, 본격적으로 법률 쟁점으로 넘어갑니다.

법률 쟁점 역시 재판장이 먼저 해당 쟁점이 왜 중요한 법적 논점이 되는지를 설명한 후, 양측 대리인에게 의견을 묻습니다. 이때 단순한 주장이 아니라, 명확한 법적 근거와 판례를 들어 설명할 것을 요구합니다. 대리인의 답변이 끝나면, 판사들은 자신의 의견을 밝히며 다시 대리인들과 토론을 이어갑니다. 법률적 논의를 심도 있게 다루는 이 과정은 마치 법률 학술대회에서 전문가들이 쟁점을 놓고 토론하는 분위기를 연상시킵니다.

After concluding the discussion on technical issues, the court takes a brief recess before transitioning to the legal issues.

As with the technical phase, the presiding judge first explains why each legal issue is significant, framing the key legal questions at stake. The judge then invites both parties’ attorneys to present their views, requiring them to support their arguments with clear legal principles and relevant case law, rather than making mere assertions.

Once the attorneys provide their responses, the judges express their own interpretations and engage in further discussion with the attorneys. This phase of the hearing involves a deep legal analysis, creating an atmosphere reminiscent of a legal academic conference, where experts rigorously debate and refine their understanding of the issues.


UPC에서의 Oral hearing은 단순한 변론이 아니라, 판사와 대리인 간의 기술적·법률적 논의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토론의 장과 같습니다. 이번 심리를 진행하며, 과거 미국 Federal Central District of California (C.D. Cal.)에서 필립스와 특허소송을 진행했을 때의 Markman hearing이 떠올랐습니다. 당시에도 판사와 대리인이 서로 의견을 주고받으며, 마치 학술토론회처럼 심리가 진행되었는데, UPC의 심리 역시 그러한 방식과 유사했습니다.

At the UPC, an oral hearing is not merely a formal presentation of arguments but rather a forum for in-depth discussions between the judges and legal representatives on both technical and legal issues. The process is highly interactive, resembling a structured debate where the court actively engages with the parties to clarify and refine key points.

As I participated in this hearing, I was reminded of a Markman hearing from a patent litigation case against Philips that I handled before the Federal Central District of California (C.D. Cal.) in the past. In that case, too, the judge and attorneys engaged in a dynamic exchange of viewpoints, making the hearing feel more like an academic symposium than a conventional trial. The UPC’s approach to oral hearings follows a similarly rigorous and discussion-driven model.


6시간에 걸친 모든 절차가 끝나자, 재판장은 판결 선고 예정일을 알려주었습니다. Oral hearing이 종료되었다는 것은 심리가 종결되었음을 의미하며, 이후 추가적인 서면 공방은 허용되지 않습니다. 침해 판단과 손해배상 판단은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며, 침해 판단은 마치 우리나라에서의 중간 판결과 같은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After six hours of proceedings, the presiding judge announced the expected date for the judgment. The conclusion of the oral hearing signifies the formal closure of the trial, meaning that no further written submissions will be allowed. The determination of infringement and damages follows a staged approach, with the infringement ruling functioning similarly to an interim judgment in Korean courts.


한편, 산업의 숙련된 기술자의 입장에서 관련 기술과 배경기술, 그리고 숙련된 기술자가 보유한 기술 상식을 좀 더 설명하고 싶은 욕심도 들었습니다. 하지만 재판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특허 명세서를 중심으로 청구항의 각 구성요소를 해석하는 것이었고, 결국 재판부가 이를 충분히 이해하는 데 집중하는 것이 핵심이라는 점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되었습니다.

From the perspective of an industry expert, I admittedly felt the urge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s on the relevant technology, background knowledge, and the common technical understanding of a skilled person in the field. However, I was once again reminded that the core focus of the proceedings is the interpretation of claim element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patent specification. Ultimately, the most critical aspect of the trial is ensuring that the court fully comprehends the patent at issue, rather than presenting additional technical insights beyond what is necessary for claim construction.


이번 사건의 결론이 어떻게 나올지는 아직 알 수 없습니다. 과거 UPC 출범 이전에 독일 법정에서 열린 구술심리에서는 판사가 재판 도중 결론을 직접 언급하는 경우도 많았지만, 이번 심리에서는 그러한 언급 없이 단순히 "충분히 이해했다"는 말이 전부였습니다. 하지만 이번 UPC 구술심리에서 얻은 경험과 교훈은 무엇보다 값진 것이었습니다.

The outcome of this case remains uncertain. In the past, before the UPC was established, it was common for judges in German courts to indicate their position on the case during oral hearings. However, in this hearing, the judges refrained from making any such remarks, stating only that they had “fully understood” the arguments presented.

Nevertheless, the experience and insights gained from this UPC oral hearing have been invaluable, offer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court’s procedural approach and judicial reasoning.


무엇보다도 장시간 동안 우리 사건을 위해 헌신적으로 애써준 대리인과 그들의 팀에게 깊이 감사드립니다. 만약 우리가 승소한다면, 우리 측 대리인이 누구인지도 공개할 수 있을 것입니다.

Above all, I am deeply grateful to our legal representatives and their team for their tireless dedication and hard work throughout this lengthy and demanding case. If we prevail in this litigation, I would be more than happy to publicly acknowledge our legal team and their contributions.


구술심리 준비명령서에서 제시된 쟁점과 질문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느라 며칠간 잠을 설치고, 보다 쉬운 이해를 위한 자료를 제작하며, 대리인과 변론 방향을 논의하느라 긴장 속에서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제 긴장이 풀리니 극심한 피로가 몰려옵니다.

I spent several tense days preparing responses to the issues and questions outlined in the oral hearing preparation order, working through sleepless nights to create materials that would facilitate clearer understanding while strategizing with our legal team on the direction of our arguments. Now that the hearing is over and the tension has finally eased, an overwhelming sense of exhaustion is setting in.


구술심리가 끝난 후, 변론을 이끈 변호사의 한마디 "All good." 이라는 자신감 있는 답변을 듣고, 좋은 결과를 기대하며 귀국을 준비합니다.

After the oral hearing concluded, I heard our lead attorney confidently say, "All good." With that reassuring remark, I now look forward to a favorable outcome as I prepare for my return home.



Sunday, January 12, 2025

(Dennis Crouch) Understanding the Legal Foundations of Enablement: Insights from Hogan and its Modern Implications

Understanding the Legal Foundations of Enablement: Insights from In re Hogan (1977) and its Modern Implications

On January 10, 2025, Dennis Crouch published a commentary on Patently-O discussing the implications of the Novartis case. This case highlights critical issues surrounding the written description and enablement requirements in U.S. patent law.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he enablement requirement, particularly through the lens of the seminal decision in In re Hogan, 559 F.2d 595 (CCPA 1977). Readers seeking a more comprehensive discussion can refer to the original Patently-O blog post.

Federal Circuit Rejects Invalidation Based on After-Arising Technology


Federal Circuit Affirms: Invalidation Based on After-Arising Technology Rejected

At the heart of the Hogan case lies a debate over the scope of the enablement requirement and how it should account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at emerge after a patent application is filed. This discussion has gained renewed relevance in contemporary cases, underscoring the enduring influence of the principles established in Hogan.


1. Background of the Hogan Case

  • Invention Overview:
    In 1953, Hogan filed a patent application describing a method for creating solid polymers in crystalline form using a chromium oxide catalyst.

    • Years later, other researchers developed new methods to create amorphous forms of the same polymer using different catalysts and techniques that were unknown in 1953.
    • These amorphous forms, though distinct, still fell within the broad category of “solid polymers” covered by Hogan’s claims.
  • Patent Office Rejection:
    The Patent Office rejected Hogan’s claims, arguing that:

    • While the claims broadly encompassed all “solid polymers,”
    • The specification only enabled the production of crystalline forms and did not provide sufficient guidance to create amorphous forms.
    • As such, the claims failed the enablement requirement, as they did not adequately support the full breadth of what was claimed.
  • Court of Customs and Patent Appeals (CCPA) Decision:
  • The CCPA overturned the rejection, articulating a key principle of patent law:

  • “To require that an earlier-filed application enable subsequently developed improvements would impose an impossible burden on inventors.”


2. The Meaning of Hogan’s Explanation

The principle established in Hogan has profound implications for the enablement requirement. The Federal Circuit reaffirmed this principle in subsequent cas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inventors from overly stringent requirements tied to technological advancements that arise after the filing date.

Hogan’s explanation underscores several critical points:

  1. Enablement is judged as of the filing date:
    The specification must enable what was known and claimed at the time of filing. It cannot be expected to anticipate or enable future technological developments.

  2. The risk of invalidation based on later advancements:
    If patents could be invalidated based on improvements that emerged after filing, two harmful consequences would follow:

    • For earlier inventors: Their patents could be invalidated retroactively for failing to enable unknown technologies.
    • For later inventors: New innovations could be unpatentable due to the broad claims of earlier patents, stifling further innovation.
  3. Policy Rationale:
    Requiring enablement of after-arising technology would undermine the patent system’s core purpose of promoting incremental improvements and rewarding innovation.

Hogan’s reasoning highlights the balance between protecting the rights of original inventors and encouraging subsequent improvements through independent patents.


3. Policy Foundations and the Limits of Enablement

The policy rationale underpinning Hogan can be distilled into the following key principles:

  1. Enablement is tied to the state of the art at the filing date:
    Inventors are only required to enable the technology as it existed when the application was filed.

  2. Unreasonable expectations are avoided:
    It is unreasonable and impractical to expect inventors to describe or enable future advancements that were not foreseeable at the time of filing.

  3. Scope of enablement:

    • The claims must be enabled to the extent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could make and use the invention based on the knowledge available at the filing date.
    • Subsequent improvements or variations developed after the filing date cannot be used to challenge the enablement of the original claims.

4. Relevance to Amgen v. Sanofi (2023)

In the 2023 Supreme Court decision in Amgen v. Sanofi, the Court addressed the concept of “full scope enablement,” emphasizing that patents must sufficiently enable the full breadth of the claims.

However, this decision does not depart from the fundamental principle established in Hogan: Enablement is evaluated based on the state of the art at the time of filing.

Despite the stricter language in Amgen, the Federal Circuit has continued to uphold the reasoning in Hogan. Specifically, the court has maintained that requiring the enablement of after-arising technology would be inconsistent with the statutory framework of the patent system.


5. Conclusion: The Legacy and Lessons of Hogan

The Hogan decision remains a cornerstone of U.S. patent law, providing essential guidance on the scope of the enablement requirement:

  1. Enablement is grounded in the filing date:
    Inventors are required to disclose how to make and use the invention based on what was known at the time of filing, not what might later be discovered.

  2. Unreasonable burdens are avoided:
    Requiring enablement of unknown or non-existent technologies would impose impossible burdens on inventors and disrupt the delicate balance of the patent system.

  3. Encouraging innovation:
    By allowing later improvements to be independently patentable, the system fosters incremental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Practical Implications for Patent Practitioners

The principles established in Hogan and reaffirmed in subsequent cases provide valuable lessons for patent drafting and prosecution:

  • Drafting Specifications: Ensure the specification provides a clear and enabling disclosure for the claimed invention based on the state of the art at the filing date.
  • Claim Scope: Avoid overly broad claims that could exceed the disclosed embodiments, risking enablement challenges.
  • Encouraging Incremental Innovation: Recognize that improvements made after the filing date are better suited for independent patents, aligning with the broader goals of the patent system.

The Hogan case exemplifies how the enablement requirement can be applied in a manner that supports both the rights of original inventors and the broader progress of technology. This balance remains essential to a functioning and effective patent system.


[Disclaimer]

This article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does not constitute legal advice. It is not intended to create, and receipt or viewing does not establish an attorney-client relationship. Readers should consult with qualified legal professionals for advice tailored to their specific circumstances.


Hogan 사건(1977)의 법리와 그 현대적 의미: Enablement 요건에 대한 고찰

2025년 1월 10일, Dennis Crouch 교수가 Patently-O에 게재한 Novartis 사건 관련 논평은 특허 실무에서 중요한 쟁점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Enablement 요건을 중심으로, 특히 In re Hogan, 559 F.2d 595 (CCPA 1977) 판결에서 확립된 법리를 통해 관련 논의를 살펴봅니다. 보다 심층적인 논의는 Patently-O 블로그 원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ederal Circuit Rejects Invalidation Based on After-Arising Technology


연방순회법원: 사후 기술을 기준으로 한 무효판단을 뒤집다

Hogan 사건의 핵심은 Enablement 요건이 특허 출원 후 등장한 기술적 발전을 어떻게 다루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에 있습니다. 이는 최근 판례에서도 반복적으로 논의되며, Hogan에서 확립된 법리가 여전히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1. Hogan 사건의 배경

  • 발명의 내용
    1953년, 호건(Hogan)은 크롬 산화물 촉매를 사용하여 ‘결정(crystalline)’ 형태의 고체 폴리머를 제조하는 방법을 특허로 출원했습니다.

    • 이후 수년이 지나, 다른 연구자들이 새로운 촉매와 방법을 사용해 동일한 고분자의 무정형(amorphous) 형태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 이 무정형 형태는 여전히 “고체 폴리머” 범주에 속하지만, 출원 당시 호건은 이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습니다.
  • 특허청의 거절 이유
    특허청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호건의 청구항을 거절했습니다:

    • 청구항은 모든 “고체 폴리머”를 포괄했지만,
    • 명세서에는 결정형 형태의 제조 방법만 기술되어 있으며,
    • 무정형 형태의 제조 방법까지 구현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 청구항이 전체 범위를 Enable(구현 가능)하지 못한다고 판단했습니다.
  • CCPA(연방순회특허심판원)의 판단
    특허청의 결정을 뒤집으며, CCPA는 특허의 유효성을 인정했습니다.
    CCPA는 다음과 같은 핵심 논리를 제시했습니다:
  • 출원 시점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을 Enable(구현 가능)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발명자에게 불가능한 부담(impossible burden)을 지우는 것이다.”

2. Hogan의 설명(인용문)의 의미

Hogan 사건에서 제시된 법리는 Enablement 요건에 대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연방순회법원은 후속 판결에서 이를 재확인하며, 사후 기술이 출원 당시 발명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Hogan의 설명은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1. Enablement는 출원일 기준으로 판단된다
    명세서는 출원 당시 알려져 있고 청구된 발명을 Enable(구현 가능)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야 합니다. 출원 이후의 기술 발전까지 포함할 필요는 없습니다.

  2. 사후 기술에 근거한 무효화의 위험
    만약 사후 기술을 근거로 기존 특허를 무효화할 수 있다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 기존 발명자: 당시 기술 수준에서 Enable할 수 없었던 이유로 특허가 무효화됩니다.
    • 후속 발명자: 기존 특허가 지나치게 광범위하게 해석되어 후속 발명에 대한 독립적 특허가 거부될 위험이 있습니다.
  3. 정책적 근거
    사후 기술을 Enable하도록 요구하는 것은 특허 제도의 근본 목적을 훼손합니다. 특허 제도는 점진적 개선(incremental improvement)을 장려하고, 발명자 간의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Hogan의 논리는 기존 발명과 후속 발명 간의 균형을 유지하며, 특허 제도가 기술 발전을 촉진하도록 하는 데 기여합니다.


3. Hogan의 정책적 근거와 Enablement 요건의 한계

Hogan 사건의 정책적·법적 근거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출원 당시 기술 수준에 기반한 Enablement 판단
    발명자가 출원 당시 기술 수준에서 구현 가능하게 설명한 내용까지만 요구됩니다.

  2. 비합리적 요구 방지
    출원 당시 알 수 없거나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을 Enable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것은 불합리합니다.

  3. Enablement 요건의 적용 범위

    • 발명자는 출원 당시 기술 수준에서, 기술 분야의 숙련자가 청구된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설명해야 합니다.
    • 출원 이후 개발된 기술이나 개선 사항은 Enablement 요건을 평가하는 기준이 될 수 없습니다.

4. Amgen v. Sanofi(2023)와의 관계

2023년 미국 연방대법원 판결인 Amgen v. Sanofi에서는 “전체 범위 구현 가능(full scope enablement)”라는 개념이 강조되었습니다.

  • 대법원은 발명자가 “특허가 청구하는 전체 범위를 구현할 수 있도록 명세서를 작성해야 한다”는 엄격한 기준을 언급했습니다.
  • 그러나 연방순회법원은 Hogan에서 확립된 출원 당시 기술 수준에 기반한 Enablement 판단 원칙이 여전히 유지된다고 보았습니다.

침해 피고는 Amgen 판결을 근거로 Hogan의 법리를 재검토할 것을 주장했으나, 법원은 Enablement 요건의 본질적 원칙이 변하지 않았음을 확인하며 이를 기각했습니다.


5. Hogan 판결의 시사점과 교훈

  • 요약:

    • 발명자는 출원 당시의 기술 수준에서 명세서를 작성해야 하며, 사후 기술 발전을 Enable할 필요는 없습니다.
    • 사후 기술을 Enable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존 특허를 무효화하면, 기존 발명자와 후속 발명자 모두에게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합니다.
  • Hogan의 의미:

    • 발명자에게 예측 불가능한 기술을 요구하지 않음으로써 합리적 발명 보호를 보장합니다.
    • 후속 개선 기술에 대해 독립적인 특허를 획득할 기회를 열어둠으로써 기술 발전의 선순환을 촉진합니다.

결론적으로, Hogan 판결은 “출원 당시 존재하지 않거나 알 수 없었던 기술을 Enable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기존 특허를 무효화하는 것은 특허 제도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원칙을 명확히 한 중요한 사례로 평가됩니다.


특허 실무에서의 교훈

Hogan 판결은 특허 작성 및 심사 단계에서 다음과 같은 중요한 교훈을 제공합니다:

  1. 명세서 작성: 출원 당시 기술 수준에서 발명을 구현 가능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2. 청구항 범위: 명세서에 충분히 뒷받침되는 범위로 청구항을 설정해야 합니다.
  3. 점진적 혁신 장려: 사후 기술 발전을 독립적으로 특허화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해야 합니다.

Hogan 사건은 특허 제도의 핵심 원칙인 발명 보호와 기술 발전 간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이러한 법리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것이 특허 실무에서 성공의 열쇠가 될 것입니다.


[면책조항]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법적 조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본 기사는 변호사-의뢰인 관계를 생성할 의도가 없으며, 이를 열람하거나 수신한다고 해서 그러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독자들은 자신의 구체적인 상황에 맞춘 조언을 받기 위해 자격을 갖춘 법률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Saturday, January 11, 2025

(Dennis Crouch) Differences in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Between the Chiron Case (2004) and the Novartis Case (2025)

Differences in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Between the Chiron Case (2004) and the Novartis Case (2025) (Dennis Crouch)

On January 10, 2025, Dennis Crouch published a commentary on the Novartis case on Patently-O. This case touches upon key issues in patent practice, which will be discussed here in terms of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and the enablement requirement. This article focuses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hiron case (2004) and the Novartis case (2025) regarding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For a more in-depth discussion, readers are encouraged to refer to the Patently-O blog.

Federal Circuit Rejects Invalidation Based on After-Arising Technology


Federal Circuit Rejects Invalidation Based on After-Arising Technology

This case revolves around U.S. Patent No. 8,101,659 (the ’659 patent), which claim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valsartan (an angiotensin receptor blocker) and sacubitril (a neutral endopeptidase inhibitor) administered “in combination.”

When Novartis initially filed the patent application in 2002, both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isclosed a method of administering the two active ingredients as a physical mixture. Several years later, Novartis scientists developed a complex form in which the two compounds are non-covalently bonded. Generic pharmaceutical companies subsequently utilized this complex form to produce generic versions of Entresto, prompting litigation over both patent infringement and validity.

At the heart of the dispute was whether the ’659 patent’s claims—which could potentially be interpreted to include the complex combination—satisfy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and the enablement requirement, even though the complex form was not disclosed in the 2002 specification.


Key Comparisons Between the Chiron Case and the Novartis Case

The primary distinction between the two cases lies in whether the claimed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original specification under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1. Chiron Case (Fed. Cir. 2004)

  • Case Overview
    Chiron’s patent claimed “monoclonal antibodies,” interpreted to include both mouse-derived antibodies and chimeric antibodies. However, a subsequent continuation-in-part (CIP) application redefined the term to explicitly include chimeric antibodies.

    • At the priority date in February 1984, chimeric antibody technology did not yet exist.
    • The original specification contained no description of how to create or use chimeric antibodies.
  • Court’s Decision
    The court held that Chiron could not demonstrate that it had “possession” of or “disclosed” chimeric antibodies in the original application. The lack of alignment between the specification and the claims led to a failure to meet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Consequently, the claims were deemed invalid.


2. Novartis Case (Fed. Cir. 2025)

  • Case Overview
    The ’659 patent claims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valsartan and sacubitril administered “in combination.”

    • The claims do not explicitly require a complex form.
    • The key focus of the claims is the co-administration of the two active ingredients,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physical state (e.g., mixture or complex).
  • Court’s Decision
    The court ruled that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is satisfied as long as the specification supports what is actually claimed—here, the co-administration of valsartan and sacubitril.

    • Even though the complex form was no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 The claims did not explicitly require a complex form, and the co-administration method was adequately disclosed.
      As such, the court found no violation of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3. Key Distinctions: Application of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 Chiron Case

    • Claim Scope: Chiron sought to expand the claim scope in its CIP application to include chimeric antibodies, which were not disclosed in the original specification.
    • This misalignment between the claims and the original specification resulted in a failure to meet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 Novartis Case

    • Claim Scope: Novartis claimed the co-administration of two active ingredients without explicitly requiring the complex form. Even if the claims could be interpreted broadly to encompass the complex form, this form fell within the scope of what was adequately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 Thus,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was satisfied.

4. Conclus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The Chiron case exemplifies a scenario where the claim scope exceeded the boundaries of what wa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whereas the Novartis case demonstrates a claim scope that remained within the disclosed boundaries.

  • Chiron Case:

    • Attempting to include a technology (chimeric antibodies) that did not exist at the time of the original filing created a misalignment between the claims and the specification.
    • This led to a failure to meet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rendering the claims invalid.
  • Novartis Case:

    • The claims were limited to what was adequately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co-administration of valsartan and sacubitril), regardless of the physical state (e.g., mixture or complex).
    • The court concluded that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was met, affirming the validity of the claims.

Lessons for Patent Practice

This case highlights the critical importance of alignment between the specification and the claims in patent practice. Specifically:

  1. Chiron Case: Expanding claim scope beyond what the original specification supports can jeopardize patent validity.
  2. Novartis Case: Keeping the claim scope aligned with the specification ensures compliance with the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even when the claims could be interpreted broadly.

Ultimately, precise drafting and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ation-claim relationship are essential for maintaining a patent’s validity. Seemingly minor elements, such as the phrasing of “in combination” or the filing of continuation applications, can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in litigation. These cases serve as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rigorous scrutiny during the drafting and prosecution stages of patent applications.

Disclaimer

This article is for informational purposes only and does not constitute legal advice. It is not intended to create, and receipt or viewing does not establish an attorney-client relationship. Readers should consult with qualified legal professionals for advice tailored to their specific circumstances.

Chiron 사건(2004)과 Novartis 사건(2025)의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차이 (Dennis Crouch)

2025년 1월 10일, Dennis Crouch 교수가 Patently-O에 게재한 Novartis 사건 관련 판례 평석은 특허 실무에서 중요한 논점을 담고 있어, 이를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enablement requirement로 나누어 블로그에서 다뤄보고자 합니다. 본 글에서는 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 관점에서 Chiron 사건(2004)과 Novartis 사건(2025) 간의 차이를 분석합니다. 추가로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한 독자는 Patently-O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Federal Circuit Rejects Invalidation Based on After-Arising Technology

먼저, 이번 판례는 미국 특허 8,101,659호(‘659 특허)에 대한 논쟁에서 시작됩니다. 해당 특허는 발사르탄(valsartan,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과 사쿠비트릴(sacubitril, 중성 엔도펩티다제 억제제)을 “함께(in combination)” 투여하는 의약품 조성물을 청구하고 있습니다.

2002년 노바티스(Novartis)가 최초로 특허를 출원했을 당시, 명세서와 청구항은 모두 두 활성 성분을 물리적 혼합물 형태로 “함께 투여(are administered in combination)”하는 방법만을 설명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수년 후, 노바티스는 두 화합물을 비공유 결합으로 결합한 복합체(complex form)를 개발했습니다. 제네릭 의약품 제조업체들은 이 복합체를 사용해 엔트레스토(Entresto)의 제네릭 버전을 출시하였고, 이에 대한 특허 침해와 유효성 논쟁이 불거졌습니다.

논쟁의 핵심은, 2002년 출원 당시 명세서에 복합체(complex combination)가 기재되지 않았더라도, 이러한 조합이 해석 상 최초 출원의 특허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을 때, written description 및 enablement 요건을 충족하는지였습니다.


Chiron 사건과 Novartis 사건의 핵심 비교

두 사건의 가장 큰 차이는 특허 청구범위와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 간의 일치 여부에 있습니다.


1. Chiron Case (Fed. Cir. 2004)

  • 사건 개요
    Chiron의 특허는 마우스 기반 항체와 키메라 항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는 “단일 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ies)”를 청구하며, 뒤이어 출원된 계속출원(CIP)에서 이 용어를 키메라 항체(chimeric antibodies)를 포함하도록 정의했습니다. 그러나,

    • 우선권 시점(1984년 2월)에는 키메라 항체 기술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고,
    • 명세서에는 키메라 항체를 제조하거나 사용할 방법이 전혀 기재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 법원의 판단
    법원은 Chiron이 키메라 항체를 “보유(possessed)”하거나 “공개(disclosed)”했다고 볼 수 없다고 판단했습니다. 명세서와 청구범위 간의 불일치가 발생했으며, 이는 서면 설명 요건(written description requirement)을 충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론지었습니다.
    결과적으로, 청구항은 무효되었습니다.


2. Novartis Case (Fed. Cir. 2025)

  • 사건 개요
    ‘659 특허는 발사르탄과 사쿠비트릴을 “함께 투여(in combination)”하는 의약품 조성물을 청구합니다.

    • 특허 청구항은 복합체(complex form)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요구하지 않습니다.
    • 즉, 청구범위의 핵심은 두 성분을 단순히 “함께 투여”한다는 점에 있습니다.
  • 법원의 판단
    법원은 서면 설명 요건은 실제로 청구된 발명(여기서는 “함께 투여”)을 명세서가 지지하는 지만 요구한다고 보았습니다.

    • 명세서가 복합체(complex form)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지 않더라도,
    • 청구항이 복합체를 명시적으로 청구하지 않은 이상, 서면 설명 요건이 충족된다고 판단하였습니다.

3. 사건 간 차이점: 서면 설명 요건의 적용

  • Chiron 사건

    • 청구범위: Chiron의 원 출원 특허는 계속출원(CIP)과 달리 원 출원의 명세서에서 뒷받침되지 않는 키메라 항체를 포함하도록 청구범위를 넓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 이는 원출원 특허 청구항이 원 명세서에서 지지받지 못하므로 서면 설명 요건을 충족하지 못함으로 결론지어졌습니다.
  • Novartis 사건

    • 청구범위: Novartis는 단순히 두 성분을 “함께 투여”하는 조성물을 청구했으며, 복합체 형태(complex form)까지 포함된다고 넓게 해석되더라도 이는 명세서에서 충분히 설명된 범위에 해당합니다.
    • 따라서, 서면 설명 요건을 충족한다고 보았습니다.

4. 결론 및 시사점

Chiron 사건에서는 청구범위가 명세서의 기술 범위를 넘어 확장된 반면, Novartis 사건에서는 청구범위가 명세서에서 뒷받침되는 범위 내에 머물렀습니다.

  • Chiron 사건:

    • 우선권 시점에 존재하지 않았던 기술(키메라 항체)을 포함하려는 시도가 명세서와 청구범위의 불일치를 초래했습니다.
    • 이는 서면 설명 요건 불충족으로 이어졌습니다.
  • Novartis 사건:

    • 청구범위가 명세서에 충분히 기술된 “함께 투여”하는 발명에 한정되었으므로,
    • 서면 설명 요건을 충족하였고, 특허 유효성이 인정되었습니다.

실무적 교훈

이번 판례는 특허 실무에서 명세서와 청구항의 일관성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보여줍니다. 특히,

  • Chiron 사건은 명세서의 한계를 벗어난 청구범위 확장이 특허 유효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 Novartis 사건은 청구항이 실제 명세서에서 뒷받침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제한될 경우, 특허의 유효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명세서와 청구항 간의 정확한 정렬(alignment)은 특허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 핵심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함께 투여(in combination)와 같은 사소한 용어 선택이나 연속출원에 따른 출원발명과 차별도 특허 소송에서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설계 단계에서부터 면밀한 검토가 필요합니다.


면책 조항

본 기사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된 것이며, 법적 조언으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본 기사는 변호사-의뢰인 관계를 생성할 의도가 없으며, 이를 열람하거나 수신한다고 해서 그러한 관계가 성립되지 않습니다. 독자들은 자신의 구체적인 상황에 맞춘 조언을 받기 위해 자격을 갖춘 법률 전문가와 상담해야 합니다.

Adam Mossoff’s Insight: Restoring the Natural Rights Perspective on Patent Law

Adam Mossoff’s Insight: Restoring the Natural Rights Perspective on Patent Law

아담 모소프 교수의 통찰: 특허제도를 둘러싼 자연권의 회복을 논하다

It is always a pleasure to come across new work by Professor Adam Mossoff, a scholar I deeply respect. Professor Mossoff has been a guiding light in exploring the natural rights philosophy underpinning patent law, and his research has significantly shaped my understanding of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the patent system. While we may diverge on certain details, I am closely aligned with Professor Mossoff in the overarching principles and objectives of patent law.

오랜만에 존경하던 아담 모소프(Adam Mossoff) 교수의 새로운 논문이 발표되었습니다. 모소프 교수는 특허법에 대한 자연권적 관점을 깊이 있게 탐구하며, 제게 특허제도의 철학적 기반을 정립하는 데 큰 영향을 준 학자입니다. 그의 연구를 통해 저는 특허제도를 바라보는 기본 틀을 형성하게 되었고, 비록 세부적인 의견에서는 차이가 있을지라도 총론에서는 모소프 교수와 같은 맥락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In his latest paper, Professor Mossoff offers a scathing critique of the U.S. Supreme Court’s eBay decision (2006) and advocates strongly for the enactment of the Restoring the American Innovation Engine: The RESTORE Patent Rights Act. This proposed legislation seeks to restore the presumption of injunctive relief, thereby reaffirming patents as a fundamental property right.

이번 논문에서 모소프 교수는 2006년 미국 대법원의 eBay 판결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특허권을 재산권으로서 본래의 지위로 회복시키기 위해 특허권 회복법(Restoring the American Innovation Engine: The RESTORE Patent Rights Act)을 제정할 것을 강력히 주장하고 있습니다. 그는 특히 특허 침해 사건에서 침해금지명령(injunction)의 추정을 복원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The eBay Decision and the Erosion of Patent Rights in the U.S.

eBay 판결 이후 미국 특허제도의 변질

Unlike in South Korea, where an injunction is automatically granted upon a finding of patent infringement, the United States has followed a different path since the Supreme Court's eBay decision. Under this ruling, even after proving infringement, a patent owner must satisfy a four-factor test that considers equity and public interest before being granted an injunction.

우리나라와 달리, 미국에서는 eBay 사건 이후 특허 침해가 인정되더라도 형평성과 공익성을 고려한 네 가지 요소 테스트를 통과해야만 침해금지명령이 발동됩니다. 반면, 한국에서는 특허 침해가 인정되면 침해금지명령이 자동적으로 부여되는 구조입니다.

Professor Mossoff argues that this decision has severely undermined the property value of patents in the U.S. He likens it to cases of predatory property invasion, emphasizing how the decision has stifled the "innovation engine" of America and devalued the market worth of patented technology.

모소프 교수는 2006년 대법원의 eBay 판결로 인해 미국 특허권의 재산적 가치가 심각히 훼손되었음을 지적합니다. 그는 이를 재산의 약탈적 침해 사례에 비유하며, 이 판결이 미국의 혁신 엔진을 멈추게 하고, 특허 기술의 시장 가치를 크게 하락시켰다고 비판합니다.

Moreover, he warns of the broader consequences, such as the rise of anti-suit injunctions in countries like China. These legal mechanisms force U.S. patent owners to litigate exclusively in Chinese courts, eroding America’s global technological leadership and putting the nation’s innovation-driven economy at risk.

더 나아가, 이러한 상황이 중국과 같은 후발 국가의 반소송 금지 명령(anti-suit injunction)을 초래하여, 미국 특허권자들이 중국 법원에서만 소송을 제기하도록 강요받는 현실을 만들어냈다고 진단합니다. 이는 미국의 글로벌 기술 리더십에도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 Property Analogy to Highlight the Core Issue

소유권 비유를 통한 핵심 메시지

Professor Mossoff provides a simple yet striking analogy to illustrate his point. Imagine someone unlawfully occupying a spare bedroom in your house. As the rightful owner, you should be able to immediately evict the trespasser. However, suppose the court imposes conditions or refuses to issue an eviction order. In that case, the trespasser might continue living there, paying only a modest fee akin to "reasonable rent" through what amounts to a forced license.

모소프 교수의 비유는 간결하면서도 강렬합니다. 누군가 무단으로 당신의 집에 침입해 여분의 침실을 점유했다고 가정해 보십시오. 집주인인 당신은 당연히 침입자를 즉시 내쫓을 권리가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법원이 여러 조건을 들어 퇴거 명령을 내리지 않는다면, 침입자는 합법적 소유권자가 아닌데도 느긋하게 머물며 합리적인 임대료 수준에서 "강제 라이선스"를 제공받는 결과가 될 것입니다.

This distorted system incentivizes technology users to bypass legitimate licensing negotiations, exploit the invention without authorization, and prolong litigation for as long as possible. Such a framework undermines the very foundation of fair commercial practices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이는 결국 발명품 사용자가 상업적 협상을 통해 합의에 이르는 대신, 발명품을 무단으로 이용하고 장기간 소송으로 버티기를 선택하도록 장려하는 왜곡된 구조를 초래합니다.


Lessons for South Korea’s Patent System

한국 특허제도 개선에 주는 시사점

While the legal landscape in South Korea differs from that of the United States, the underlying philosophy of patent rights offers critical lessons for improving our patent system. Patents are not mere statutory creations but are rooted in the natural rights of inventors, reflecting the fruits of intellectual labor and creativity. Just as with other property rights, patents existed before formal laws and governments, with the state’s role being to safeguard these rights through legislation.

비록 미국과 한국의 특허법 환경은 다르지만, 특허권을 바라보는 철학적 시각은 우리 특허제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영감을 제공합니다. 특허권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마련된 단순한 법적 권리가 아니라, 인간의 지적 노동에 대한 재산권이자 신이 부여한 기본권(자연권)입니다. 특허권은 다른 재산권과 마찬가지로 법이 생기기 전에 그리고 국가가 생기기 전부터 인간에게 부여된 권리입니다. 단지 국가는 이러한 재산권을 보호할 의무를 가지고 구체적인 법령을 제정하여 실현하고 있는 것입니다.

The protection of patents should be no less robust than the protection of tangible property. Treating patent enforcement as an exceptional privilege subject to "equity" or "public interest" considerations devalues its inherent nature. Any limitations imposed on fundamental rights must be minimal and must not compromise their essential character.

다른 재산권에서 침탈자가 즉각 제거되는 것처럼, 특허권도 예외 없이 보호받아야 합니다. "형평성"이나 "공익성"을 내세워 특허권을 예외적인 특권으로 격하시킨다면, 이는 특허제도의 본질을 훼손하는 행위라 할 수 있습니다. 기본권은 제한되더라도 최소한에 그쳐야 하며, 그 본질적 가치는 침해되지 않아야 합니다.


The Intersection of Natural Rights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

특허제도: 자연권과 기술 발전의 접점

The patent system, at its core, is designed to protect the products of human creativity while fostering technological progress. For instance, robust patent protection enables startups to commercialize their innovations and provides investors with the confidence to fund groundbreaking technologies. Conversely, weakening patent rights jeopardizes innovation leaders and can result in significant economic and competitive losses.

특허제도는 인간의 창조적 노동의 결과물을 보호하며, 이를 통해 기술 혁신을 촉진하려는 사회적 장치입니다. 예를 들어, 특허권이 강력히 보호되는 환경에서는 창업 기업이 자신의 기술을 적극적으로 상업화하고, 투자자들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특허권이 약화된다면 기술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이 큰 손실을 입거나 시장 지배력을 잃을 수 있습니다.

Maintaining the philosophical integrity of the patent system is essential to ensuring that it continues to serve its intended purpose. Professor Mossoff’s work offers profound insights into how this balance can be achieved.

이 제도가 본연의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철학적 기반을 견고히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소프 교수의 논문은 이러한 점에서 깊은 통찰을 제공합니다.


Final Thoughts

맺음말

Professor Mossoff’s latest paper reads like a compelling essay, delivering a vital message: patents must be viewed not as mere legal instruments but as fundamental human rights. His arguments transcend the specifics of the U.S. patent system and resonate with any nation aspiring to lead through innovation. I highly encourage you to read his work and reflect on the direction patent law should take to support a brighter future for innovation.

마치 한 편의 수필을 읽는 듯한 모소프 교수의 논문은 특허제도와 자연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합니다. 특허권을 단순한 법적 권리가 아닌, 인간의 본질적 권리로 바라봐야 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그의 주장은 단순히 미국 특허제도에 국한되지 않고,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성장하는 모든 국가의 미래를 고민하게 합니다. 여러분도 이 논문을 통해 특허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시기를 권합니다.


Read the full paper here:

아래 링크에서 꼭 한 번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Restoring the American Innovation Engine: Congress Should Consider Enacting the RESTORE Patent Rights Act

Saturday, January 4, 2025

A Study on the History and Case Law of Indirect Infringement Doctrines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is article is an excerpt from my presentation at the Patent Law Society Seminar on April 20, 2024.

In this paper, I concisely summarize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case law evolution of indirect infringement doctrin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y examining the U.S. doctrines of indirect infringement, including relevant case law and legislative history, I aim to offer insights that may deepen our understanding of Korea’s approach to indirect infringement under its patent law framework.


I. Historical Development of Indirect Infringement Doctrines in Korea

Wednesday, January 1, 2025

인공지능 기반 특허 분석 모델 - 최신 특허 출원 소개 (AI-Based Patent Analysis Model - Introduction to the Latest Patent Application)

AI-Based Patent Analysis Model - Introduction to the Latest Patent Application

Hello! In this post, I am excited to introduce the latest patent technology I developed during my master's program in artificial intelligence. 

This invention presents an innovative methodology focused on automating and improving the accuracy of patent analysis. 

The invention was provisionally filed on July 18, 2023 (Application No.: 10-2023-0093439) and officially filed on June 10, 2024 (Application No.: 10-2024-0075102). Here, I share the key details of this invention.


Patent Overview

  • Filing Date: June 10, 2024
  • Application No.: 10-2024-0075102
  • Title: Method for Generating Patent Analysis Model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and Text Pair Embeddings, Patent Analysis Methods, and Computing Devices
  • Priority Claim: 10-2023-0093439 (July 18, 2023)

Motivation for the Invention

Traditional patent analysis methods are labor-intensive and struggle to reflect the complexity of legal interpretations. 

In particular, accurately identifying relationships between patent claims and descriptions posed challenges, leading to unreliable assessments of infringement and similarity. This invention was developed to address these issues.


Limitations of Background Technology

  1. Lack of Linguistic Adaptation:
    • Existing Natural Language Processing (NLP) models fail to capture the complex structure and legal semantics of patent documents.
  2. Legal Interpretation Challenges:
    • The inability to reflect legal nuances in claim interpretation results in errors in similarity judgments.
  3. Efficiency Issues:
    • Manual reliance on experts for data preparation leads to excessive costs and time.
  4. Performance Constraints:
    • Existing models struggle to capture contextual understanding and assess similarity accurately.

Proposed Solutions

1. Training Methods

  1. Text Pair Generation and Labeling

    • Extract text sequences from claims and descriptions.
    • Label pairs as similar (1) if extracted from the same document and dissimilar (0) if from different documents.
    • Automatically generate labeled training data without manual classification of infringement or similarity.
  1. Pre-training and Transfer Learning

    • Utilize transformer-based language models such as BERT.
    • Leverage large-scale patent datasets to enhance contextual understanding.
  1. Text Embedding Optimization

    • Tokenize text sequences and convert them into vector embeddings.
    • Optimize performance using cross-entropy loss functions.
    • Achieved loss below 19% within 15 epochs, reaching 81% accuracy.
  1. Batch Learning and Ensemble Learning

    • Prevent dataset bias through cross-learning between similar and dissimilar groups.

2. Inference Methods

  1. Similarity Analysis:
    • Analyze similarity by embedding text pairs of patent claims and target inventions.
  2. Infringement Analysis:
    • Evaluate the similarity between product descriptions and claims to assess infringement.
  3. Patentability Analysis:
    • Assess the similarity between claims and prior art descriptions.
  4. Classification Optimization:
    • Use binary classifiers to automate patentability verification and infringement analysis.

Key Benefits

  1. Automation and Efficiency Improvement:
    • Rapidly process large-scale training datasets without manual preparation.
  2. Enhanced Accuracy:
    • Improve reliability by reflecting contextual meaning and legal nuances in claims and descriptions.
    • Verified accuracy through 100 invention tests.
  3. Scalability:
    • Apply optimized hardware (neuromorphic computing) and software (BERT-based models) for large-scale analysis.
  4. Cost Reduction:
    • Reduce reliance on experts, lowering costs and accelerating analysis speed.
  5. Legal Interpretation Support:
    • Assist in patent registration, infringement lawsuits, and novelty verification.

Conclusion

This invention addresses limitations in traditional methods by introducing an AI-powered patent analysis model that automates similarity and infringement analysis. By optimizing text pair embeddings and neural network training, this solution effectively interprets complex patent documents and can be broadly applied in legal and R&D fields.

Future plans include validating the performance of this technology across various fields and continuously enhancing its performance and application scope. I look forward to receiving feedback and engaging in discussions with interested readers!


인공지능 기반 특허 분석 모델 - 최신 특허 출원 소개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트에서는 제가 인공지능 석사과정 중에 개발한 최신 특허 기술을 소개합니다. 이 발명은 특허 분석의 자동화와 정확도 향상에 초점을 맞춘 혁신적인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해당 발명은 2023년 7월 18일 가출원(출원번호: 10-2023-0093439)을 거쳐, 2024년 6월 10일에 정규출원(출원번호: 10-2024-0075102)되었습니다. 이제 그 핵심 내용을 공개합니다.


특허 개요

  • 출원일: 2024년 6월 10일
  • 출원번호: 10-2024-0075102
  • 발명의 명칭: 인공신경망 및 텍스트 쌍 임베딩을 이용한 특허 분석 모델의 생성 방법, 특허 분석 방법 및 컴퓨팅 장치
  • 우선권 주장: 10-2023-0093439 (2023년 7월 18일)

발명의 동기

기존의 특허 분석 방법은 노동 집약적이며 법률적 해석의 법리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특히 특허 청구범위와 발명 설명 간의 관계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신뢰성 있는 특허 침해 및 유사성 판단이 어려웠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이 개발되었습니다.


기존 기술의 한계

  1. 언어적 특수성 반영 부족:
    • 기존 자연어 처리(NLP) 모델은 특허 문서의 복잡한 구조와 법률적 의미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함.
  2. 청구범위 해석의 법률적 한계:
    • 청구범위 해석의 법률적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여 유사성 판단 오류 발생.
  3. 효율성 부족:
    • 학습 데이터 생성 작업에 전문가의 수작업 의존으로 비용과 시간이 과다 소요.
  4. 성능 한계:
    • 임베딩 과정에서 정확한 문맥 이해와 유사성 판단이 어려움.

해결 방법

1. 학습 방법

  1. 텍스트 쌍 생성 및 레이블링

    • 청구범위(Claims)와 발명 설명(Description)에서 텍스트 시퀀스를 추출.
    • 동일 문서에서는 유사(1), 다른 문서에서는 비유사(0)로 자동 레이블링.
    • 침해 여부나 유사 여부를 수작업으로 분류하지 않고 자동으로 레이블링된 학습 데이터 생성.
  2. 사전 학습 및 전이학습 적용

    • BERT와 같은 트랜스포머 기반 언어모델을 활용.
    • 대규모 특허 문서 데이터를 통해 문맥 이해 성능 강화.
  3. 텍스트 임베딩 최적화

    • 텍스트 시퀀스를 토큰화하고 벡터 임베딩으로 변환.
    • 교차 엔트로피 손실 함수를 사용하여 성능 최적화.
    • 15 에포크 내 손실 19% 이하, 정확도 81% 달성.
  4. 배치 학습 및 앙상블 학습 적용

    • 데이터셋 편향 방지를 위해 유사/비유사 그룹 교차 학습.

2. 추론 방법

  1. 유사성 판단:
    • 특허 청구범위와 추론 대상 발명을 텍스트 쌍으로 임베딩하여 유사성 분석.
  2. 침해 분석:
    • 제품 설명과 청구범위 유사도를 평가하여 침해 여부 판단.
  3. 특허성 분석:
    • 청구범위와 선행발명 설명 간 유사도를 평가.
  4. 분류 작업 최적화:
    • 유사성 여부를 이진 분류기로 판단하여 특허 검증 및 침해 여부 분석 자동화.

발명의 효과

  1. 자동화 및 효율성 향상:
    • 학습 데이터 생성의 수작업 없이 대규모 분석 데이터 신속 처리.
  2. 정확도 강화:
    • 청구범위와 설명의 문맥적 의미 및 법률적 특수성 반영으로 신뢰성 향상.
    • 100건의 발명에 대한 정확도 검증 완료.
  3. 확장성:
    • 하드웨어(뉴로모픽 컴퓨팅) 및 소프트웨어(BERT 기반 모델) 최적화를 통한 대규모 분석 작업 적용 가능.
  4. 비용 절감:
    • 전문가 의존도 감소로 비용 절감 및 속도 향상.
  5. 법률 해석 지원:
    • 특허 등록, 침해 소송, 신규성 검증 등 다양한 법률 검토에 활용 가능.

결론

본 발명은 인공지능 기반 특허 분석 모델을 통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고, 특허 침해 여부 및 유사성 분석을 자동화합니다. 텍스트 쌍 임베딩과 신경망 학습 최적화로 복잡한 특허 문서 해석 문제를 해결하며, 법률 및 연구개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앞으로도 이 기술의 성능을 다양한 분야에서 검증하고, 지속적인 성능 향상과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피드백과 토론을 기대합니다!

Can AI Be Your Paralegal? (Only if You Follow This 5-Step Verification Process)

  Blogging_CS · Sep 20, 2025 · 10 min read Generative AI promises to revo...